
울산은 새울 원전 2기를 비롯해 고리·월성 원전 10기가 인근에 있다. 원전 반경 30㎞ 이내에 거주하는 인구만 해도 100만여명에 달해 대응 체계가 제대로 구축돼 있지 않으면 울산은 물론 인근 지자체까지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 이에 공 위원장은 “가장 최근 실시된 합동 훈련과 연합훈련의 목적과 주요 내용, 실시 결과에 대해 설명해 주고, 올해 실시 예정인 합동 훈련의 구체적인 계획과 준비 상황을 알려주시기 바란다”며 “특히 재난 발생 시 각 구·군별 구호소 위치와 방호 약품 수령 방법, 주민 행동 요령 등과 관련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와 함께 원전이 있는 울주군 서생면에는 119지역대만 설치돼 있어 전문 인력과 장비가 부족한 실정으로 향후 서생119안전센터가 설치될 경우 전문 인력과 장비 규모에 대한 정보와 함께 방사선비상계획구역에서 제외된 북구 및 울주군 일부 읍·면·동이 방사능 재난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법령 개정이나 구역 재설정 등의 개선 방안이 있는지 밝혀줄 것도 요청했다. 전상헌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