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올해 3월 울산·경북·경남 산불로 발생한 재난폐기물 74만3000t 중 6월 말 기준 95.6%에 해당하는 71만1000t을 처리했다고 1일 밝혔다.
울산 울주군에서 발생한 재난폐기물 800t은 모두 처리됐으며, 경북(안동·영덕·영양·의성·청송)은 95%(73.7만t 중 70.4만t), 경남(산청·하동)은 100%(6000t)의 처리율을 보였다.
군의 경우 주택·상가·농업용 창고 등 주민 생활 및 생계 시설의 철거 과정에서 발생한 재난폐기물이 대부분이고 민가 피해가 적어 신속히 처리됐다.
환경부는 피해 지자체에 국비 1420억원을 지원하고, 위탁용역 계약체결 현황을 집중적으로 관리해 폐기물 처리가 지연되지 않도록 적극 대응했다.
아직 철거되지 않은 일부 산불 피해 주택과 소규모 공장의 잔여 재난폐기물도 철거가 완료되는 대로 즉시 처리할 계획이다.
아울러 환경부와 울산시 등 지자체는 여름철 장마와 태풍 등 풍수해로 인한 수해 재난폐기물 발생에 대비해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수해 재난폐기물 산정 및 관리 지침서’를 마련해 배포하고, 공무원 교육도 실시했다.
울산을 포함한 전국 지자체는 침수 피해 발생 시 전자제품, 집기류 등 각종 수해 재난폐기물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총 1300곳의 적환장(폐기물장) 예비 부지를 확보하고 있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산불 피해 지역의 신속한 일상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 재난폐기물 관리와 처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여름철 수해 폐기물에 대해서도 처리 지연 및 2차 환경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