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수도권 일극체제를 넘어서는 ‘제조산업형 인공지능(AI)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정부에 비수도권 AI 특구 지정을 요청했다.
급격한 산업 지형 변화 속에 “AI가 없으면 울산의 미래도 없다”는 입장을 거듭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울산시는 8일 정부 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소속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 간담회에서 대통령 울산 지역공약 10개와 국가균형성장 전략과제 5개를 공식 건의했다. 안승대 울산시 행정부시장을 비롯한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균형성장특위 주재로 진행된 간담회는 대통령 지역 공약의 실현과 지역 균형 발전 전략을 직접 제안하는 실질적인 협의의 장이었다.
간담회 테이블에 오른 건의 사항 중 가장 눈길을 끈 것은 울산시가 수도권 집중 해소와 지역 상생 전략과제로 제안한 ‘비수도권 중심 제조산업형 AI 집적단지 및 특구 지정’이다. 지난해 서울 양재 일대가 AI 특구로 지정됐지만, 이곳은 지리적 특성상 AI 연구·개발이 수도권에 편중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지적됐다.
이에 따라 지역 제조업 중심 도시를 기반으로 한 비수도권 거점 AI 특구 지정 필요성이 제기됐다.
울산은 정부가 추진하려는 ‘AI 고속도로’ 전략에서 선도적 위치에 있다.
비수도권인 울산은 수도권에 비해 안정적인 전력 수급은 물론 각종 산단을 보유하고 있어 대지 확보가 용이하다. SK텔레콤과 아마존웹서비스(AWS)가 미포국가산업단지 일대에 추진하는 AI 데이터센터가 대표적인 사례다. 센터 인근에는 SK가스의 가스복합발전소가 있어 대규모 전력 수급이 수월하다. 무엇보다 울산은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지역 주력산업에 특화된 AI 개발과 실증을 중심으로 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갖췄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구 지정이 이뤄진다면 AI 관련 사업을 ‘빨리, 싸게, 과감하게’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제조산업형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일부 규제 유예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아울러 시는 간담회에서 대통령 지역공약인 세계적 문화·엔터테인먼트 시설, 반구천 세계유산 역사문화공간 조성, 자동차·석유화학·조선산업의 미래 친환경산업 전환 등 관련 사업 지원을 강조했다.
시는 지역 핵심 공약이 실현될 수 있도록 정치권과 중앙정부와 협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안승대 울산시 행정부시장은 “간담회는 울산의 미래 발전 방향을 정부에 직접 설명하고 국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건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라며 “울산의 공약과 전략과제가 국가 발전의 축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