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선도기업의 전략적 투자를 계기로 울산이 첨단 ICT 산업 중심지로 도약하고, 관련 기업 집적과 산업 클러스터 형성의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울산 기회발전특구의 지정면적 변경 사항을 고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에 따라 기존 6000평(약 2만1000㎡) 규모였던 남구 내 특구 면적은 1만1000평(약 3만5700㎡)으로 확대된다. 이 구역은 지난해 11월 특구로 지정된 지역 중 일부로, 울산미포국가산단 내 ‘친환경 에너지 산업 지구’에 속한다.
이번 지정 변경은 지난 6월 SK와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체결한 울산 AI 데이터센터 투자 계약에 따른 후속 조치다. 부지의 전략적 가치와 경제적 파급효과를 반영한 결과다.
특히 사업 주체가 기존 SKMU(주)에서 SK브로드밴드(주)로 바뀌면서 투자 규모도 당초 4000억원에서 1조5000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한 사업비는 총 7조원이지만, 이번 특구 확대를 위한 투자 규모 산정에서 AWS의 서버 비용 5조5000억원은 제외됐다. 착공은 올해 9월 예정이며, 완공 시 전국 최대 수준의 AI 연산 인프라가 울산에 구축된다. 울산시 추산에 따르면 이번 변경으로 추가되는 생산 유발 효과는 약 1조5562억원, 부가가치 유발은 8412억원에 달한다. 소득 유발은 8769억원, 취업 유발 인원은 7572명으로 집계됐다.
기회발전특구는 정부가 비수도권 지역의 기업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로, 해당 지역에 입주하거나 창업하는 기업에 대해 세제 감면, 규제 완화, 정주여건 개선 등의 인센티브를 종합적으로 제공한다. 특히 울산 데이터센터 부지처럼 신설되는 사업장에는 법인세 5년 전액 감면, 이후 2년간 50% 감면 혜택이 적용된다. 재산세도 동일하게 5년 전액, 이후 5년 50% 감면된다. 뿐만 아니라 수도권에서 이전하는 기업의 경우 취득세는 조례를 포함해 100% 감면되며, 상속 공제 요건도 완화된다.
시는 지난해 11월 총 127만평(약 419만㎡) 규모의 부지를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받았다. 이는 광역시 면적 상한(150만평)보다 23만평 적은 수준이다. 이후 정부는 외국인투자기업의 부지는 면적 상한에서 제외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개선했고, 울산 특구 내 S-OIL이 투자한 32만평(106만㎡)은 별도 계상됐다. 이로써 울산은 현재 약 55만평(182만㎡) 규모의 특구 여유부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기업 유치와 지정 확대가 가능하다.
현재 울산 기회발전특구는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 선도지구 △주력산업 첨단화 지구 △친환경 에너지 산업 지구 등 3개 권역으로 나눠 운영되고 있다.
특히 이번에 확대된 부지는 시가 현재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준비 중인 곳이다. 분산에너지특구는 분산형 전원을 활용해 지역 내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자립형 구조를 지향한다. 기회발전특구와 분산에너지특구가 함께 지정될 경우 울산은 세금이 낮고, 전기요금이 저렴하며, 친환경 인증까지 가능한 산업지형을 갖춘 미래형 복합산업지로 부상할 수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기회발전특구는 기업이 들어오게 만드는 제도이고, 분산에너지특구는 기업이 머무르게 만드는 기반”이라며 “두 제도가 결합되면 에너지 중심의 고부가가치 산업생태계가 조성되는 만큼 강력한 시너지가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