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도전 대응할 새 거버넌스 모색을”
상태바
“AI 도전 대응할 새 거버넌스 모색을”
  • 김두수 기자
  • 승인 2025.09.26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전보장이사회 공개토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유엔본부에서 ‘AI와 국제평화·안보’를 주제로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공개토의를 주재한 데 이어 뉴욕 현지에서 주요국 정상들과 회담을 갖는 등 활발한 외교를 펼쳤다.

이 대통령은 회의 직전 가진 약식브리핑 발언에서 “전 유엔 회원국을 대상으로 처음 열리는 인공지능(AI) 주제 토론회라는 점에서 의미가 더욱 각별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오늘날 AI 기술의 발전은 우리 일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넘어 국제적인 안보 환경까지 급격히 바꾸고 있다. 80년 전 출범 당시 유엔의 주요 관심사가 ‘새로 등장한 핵무기 위협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였다면, 이제는 AI라는 새로운 위협과 도전에 걸맞은 새로운 거버넌스를 모색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그동안 AI가 가져온 기술 혁신이 국제 평화와 안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이끌어왔다. 오늘 회의 역시 대한민국이 ‘더 나은 세계’를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안보리 공개토의 를 마친 뒤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서 양국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양국이 지리적 위치나 국민성 등 여러 측면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다. AI, 방산 등의 분야에서 호혜적 협력을 발전시켜 나가자”고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카롤 나브로츠키 폴란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1989년 수교 이래 양국의 관계가 정무, 경제, 인적 교류 등 제반 분야에서 꾸준히 발전했으며, 최근 한국 기업의 첨단산업 분야 투자 등을 통해 실질 협력이 더 확대되고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13)유익한 지름길-청구뜰공원
  • 울산의 초가을 밤하늘 빛으로 물들였다
  • 한국드론문화협동조합 양산서 공식 출범
  • 태화강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추진
  • 수소도시 울산, 2028년까지 295억 투입
  • 물과 빛의 향연…‘남창천 물빛축제’ 6일 개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