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한병도 의원이 행정안전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울산시와 5개 구·군의 전산직 공무원은 102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AI·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을 전담하는 데이터직 공무원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적으로도 사정은 비슷하다. 광역단체 가운데 데이터직 공무원을 둔 곳은 광주시가 유일했다. 광주는 전체 전산직 74명 중 4명이 데이터직류로 분류돼 있으며, 울산을 비롯해 서울·부산·경기 등 주요 광역단체에는 데이터직 공무원이 전무했다.
기초단체 상황도 다르지 않다.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전산직 공무원은 총 3192명이지만, 데이터직 공무원은 15명(0.4%)에 그쳤다. 이들 역시 광주(3명), 충남(8명), 강원(3명), 전남(1명) 등 일부 지역에만 한정돼 있다. 전국 243개 지자체(광역 17곳·기초 226곳)를 모두 합치면 전산직 공무원은 4549명이며, 이 가운데 AI·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업무를 담당하는 데이터직류 공무원은 단 19명(0.4%)에 불과하다.
반면 중앙정부는 디지털 행정 전환을 위해 2023년부터 데이터직 공무원을 별도로 채용하고 있다. 2023년 35명, 2024년 34명, 올해 26명을 선발했으며, 정부는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 정부’를 뒷받침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방정부는 전산직이 시스템 관리와 행정 전산화 업무를 맡으면서 동시에 AI·데이터 관련 업무까지 병행하고 있다.
‘광역·기초단체 AI 업무 수행 관련 현황 조사’에 따르면 전국 전산직 공무원 중 AI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은 349명으로 전체의 7.6% 수준이다. 울산시청의 경우 전산직 60명 중 16명, 기초단체는 42명 중 2명이 AI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이런 인력 구조로는 내년 1월22일 시행되는 ‘AI 기본법’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지자체들은 △AI 업무량 급증 △전문인력 부족 △데이터 보안 및 윤리 관리 강화 △AI 개발 역량 미비 등을 이유로 데이터직 공무원 충원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AI 기반 행정 서비스와 국정과제 실현을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통합·정제하는 데이터 거버넌스 역량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AI 전담 조직이 부재하고 전문 인력이 부족해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 구현은 물론 정부의 AI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전국 광역·기초단체들이 AI 행정 수행을 위해 추가로 필요하다고 밝힌 인원은 총 286명이며, 이 중 울산시는 4명, 울산 기초단체는 2명으로 집계됐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