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가구 소득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역동성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산층(3~4분위)의 소득 지위는 불안정한 반면, 고소득층(5분위)은 지위가 견고해 소득 양극화가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자동차·조선·석유화학 등 탄탄한 제조업 기반 위에 구축된 경제적 안정 속에서도, ‘소득 역동성 확보’와 ‘양극화 해소’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3년 소득이동 통계’를 보면, 울산 가구의 소득 이동성은 31.9%로 17개 시도 중 세종, 전북에 이어 세 번째로 낮았다. 전통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가 울산 시민들의 소득 이동성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제주·인천·경기 등은 소득 상향이동성이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산업 구조 변화가 활발한 것으로 평가됐다.
울산 가구의 소득 하향이동성(14.8%)은 전국 평균보다 낮았지만, 소득 유지 비율(68.1%)은 다소 높았다. 경기 침체기 소득이 급격히 하락할 가능성이 낮은 ‘소득 안정형 도시’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소득 상향이동성(17.1%)은 전국 평균과 비슷해 상대적으로 경제적 역동성 부족을 드러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소득 분위별 이동에서 나타난 소득 양극화 현상이다. 소득 1분위(저소득층)의 상향 이동성은 5.5%로, 일부 가구가 더 높은 소득 분위로 이동했다. 반면, 소득 3분위의 상향 이동성(3.7%)은 하향 이동성(4.3%)보다 낮았고, 4분위 역시 상향(2.7%)보다 하향(4.1%) 이동이 크게 나타났다.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졌다. 소득 5분위(고소득층)의 하향 이동성은 2.8%에 불과했다.
이는 울산 중산층이 소득 상승보다는 하락하는 경우가 더 많아 불안정한 가운데도 고소득층은 고소득 지위를 유지하는 비율이 높아 소득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통계는 울산의 ‘소득 안정성’은 강점이지만, ‘경제 역동성 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를 명확히 보여준다. 산업 구조 개편을 서둘러야 한다. 전통 제조업 중심에서 AI(인공지능)·이차전지·수소 등 신산업과 서비스 산업으로 다변화해 경제 활력을 높여야 한다. 아울러 중산층의 소득 불안정성을 완화하고 상향 이동을 촉진할 사회적 사다리를 강화하는 정책이 요구된다. 산업 대전환기 ‘소득 안정성’이라는 장점을 유지하면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 개편을 통해 미래 과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