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쌀 생산 1년새 4.9% 줄어…감소폭 전국 2위
상태바
울산 쌀 생산 1년새 4.9% 줄어…감소폭 전국 2위
  • 오상민 기자
  • 승인 2025.11.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울산의 쌀 생산량이 전년보다 4.9% 줄며 전국에서 두번째로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재배면적 감축과 단위면적 생산성 정체가 겹치면서 생산량이 4년 연속 하락 흐름을 이어갔다.

국가데이터처가 13일 발표한 ‘2025년 재배면적(확정) 및 농작물생산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울산의 쌀 생산량은 1만5546t으로, 지난해 1만6338t보다 792t(-4.9%) 감소했다. 감소율 기준으로는 대전(-5.3%)에 이어 전국 2위다.

울산의 쌀 생산량 감소는 재배 기반 축소가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된다. 올해 벼 재배면적은 3349㏊로 지난해 3496㏊에서 4.2% 줄었다. 전국 재배면적 감소율(-2.9%)보다 낙폭이 크다.

생산성도 개선되지 못했다. 경작지 10a(100㎡)당 생산량은 464㎏으로 전년(467㎏)보다 0.7% 감소했다. 전국 평균이 기상여건 개선 영향으로 1.7% 증가한 것과 대비되는 흐름이다.

시도별 생산량을 보면 충남이 69만3819t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68만6504t), 전북(54만3137t)이 뒤를 이었다. 반면 울산은 전체 생산량에서 전국 대비 비중이 크지 않지만 감소율만 놓고 보면 최상위권이다.

올해 전국 쌀 생산량은 353만9433t으로 지난해보다 1.3% 줄었다. 벼 재배면적이 67만7514㏊로 2.9% 감소한 영향이다. 전국 단위 생산량은 10a당 514㎏에서 522㎏으로 늘었지만, 울산은 예외적으로 생산성 회복이 나타나지 않았다.

지역 농업계에서는 벼 재배 감축 정책의 지속, 기후 영향, 농업 인력 부족 등을 울산 생산량 감소의 배경으로 꼽고 있다. 특히 중산간지 중심의 소규모 재배지가 많은 구조적 한계가 생산성 개선 폭을 제한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오상민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오늘의 운세]2025년 10월20일 (음력 8월29일·임술)
  • 도서관 인근 편의점 ‘담배 뚫린곳’ 입소문 일탈 온상
  • 옥교동한마음주택조합 8년만에 해산 논의
  • 울산도시철도 2호선 예타 여부 이번주 결정
  • 필름부터 AI이미지까지 사진 매체의 흐름 조명
  • 강동 주민·상권 ‘불꽃축제’ 기대 고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