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는 17일 산업통상부, 중소벤처기업부,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부품 협력사들과 함께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프로그램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현대차·기아가 그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공급망 탄소저감 노력의 일환으로 협력사와 동반성장을 기반으로 공급망 전반의 저탄소화를 가속화하고, 기후변화 대응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
우선 이번 협약으로 산업부와 현대차·기아는 1차 부품협력사의 탄소감축 설비 교체비를 지원한다. 이후 1차 부품협력사는 지원받은 금액의 일부를 2차 협력사에 환원해 중기부와 함께 2차 협력사의 탄소감축 설비구매를 지원하고 탄소중립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민관 공동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현대차·기아는 협력사의 중장기 탄소감축 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설비 도입과 역량 강화를 위한 ‘탄소저감 상생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공급망 내 자발적 감축과 협력 확산을 유도하는 민관 공동의 지원 모델로, 하위공급망까지 저탄소 전환이 이어질 수 있도록 연계형·상생형 구조를 활성화한다.
현대차와 기아는 협력사 저탄소 전환 지원으로 완성차 탄소발자국을 낮추고, 확보한 배출권을 향후 배출권거래제에서 상쇄 배출권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현대차·기아는 2045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차량 생산부터 운행,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탄소 순배출 제로화를 추진하고, 공급망의 저탄소 전환을 핵심 전략으로 설정하고 있다.
올해 4월에는 협력사를 대상으로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를 열고, 관련 기술과 설비를 소개해 협력사의 지속가능 경영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도 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기업·정부·공공기관이 함께 만든 공급망 저탄소 전환의 실질적 협력 모델이다”며 “지속가능경영 실천과 산업 생태계 전환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탄소 감축 노력이 산업 공급망 전반으로 확산할 수 있게 정책·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고, 앞으로 전기·전자,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조선 등으로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을 확대할 예정이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