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 ‘경자청’ 개청 목표
투자유치·경자구역개발팀 등
3개 팀 정원 45~50명 예상
시민 체감 공공서비스 혁신
사회혁신담당관 신설도
투자유치·경자구역개발팀 등
3개 팀 정원 45~50명 예상
시민 체감 공공서비스 혁신
사회혁신담당관 신설도

김경우기자 woo@ksilbo.co.kr
시는 경제자유구역청 개청을 준비하고 경제자유구역 지정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추진단을 설치한다고 7일 밝혔다.
경제자유구역청 개청 시점은 올해말이 목표다. 경제자유구역청 조직은 경제자유구역청장을 비롯해 총무팀, 투자유치팀, 경자구역개발팀 등 3개팀, 정원은 45~50명이 될 것으로 울산시는 예상하고 있다. 조직과 정원은 행정안전부의 협의에 따라 결정된다.
타 지자체의 사례를 보면 청장은 고위공직자로 분류되는 1~2급 상당이 될 전망이다. 청장은 개방직으로 전문성을 갖춘 인물로 영입된다. 또한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정원의 30%이내에서 외부 전문가를 채용할 수 있다.
경제자유구역추진단은 조직 구성 등 경제자유구역청 개정을 총괄관리 한다.
시는 이러한 내용의 행정기구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경제자유구역추진단은 미래성장기반국 산하 투자교류과에 있던 경제자유구역 담당이 과 단위로 규모가 커지는 것이다.
경제자유구역추진단에는 기획 홍보와 개발지원 담당 등 2개 부서로 구성된다. 인력도 기존 5명에서 6명을 보강해 모두 11명으로 확대된다.
시는 또 기존 일자리경제국 사회적경제과를 없애고 사회혁신담당관을 신설한다.
시는 시민사회, 청년, 기업, 행정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해 창의적인 해결 방안을 찾는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혁신담당관을 새로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회혁신담당관에는 사회공동체계, 혁신정책, 청년정책, 사회적경제 4개 담당으로 꾸려진다. 기존 사회적경제과에는 사회적경제기획, 경제지원, 소상공인지원 3개 담당이 있었다.
시 관계자는 “사회혁신담당관은 시민 주도 사회 혁신과 민·관 협력, 교류 확대, 시민이 체감하는 공공서비스 혁신 등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3일 울산 수소산업거점지구, 광주 인공지능(AI)융복합지구, 경기 시흥 무인이동체 거점지구 등 3개 지역 8개 지구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했다.
울산 경자구역은 △수소산업거점지구 △일렉드로겐오토밸리 지구 △R&D비즈니스밸리 등 3개 지구(4.7㎢)로 구성된다. 사업비는 오는 2030년까지 총 1조1704억원이 투입된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