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
LG화학 오창공장 방문
장수명·리튬-황 배터리 등
미래배터리 개발 방향 공유
LG화학 오창공장 방문
장수명·리튬-황 배터리 등
미래배터리 개발 방향 공유

현대차그룹 정의선 수석부회장과 LG그룹 구광모 회장은 22일 오전 LG화학 오창공장을 방문, 전기차 배터리 개발 현장을 둘러보고 미래 배터리에 관한 의견을 나눈 뒤 오찬을 함께 했다. 정 부회장과 구 회장의 단독 회동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차그룹에서는 기획조정실 김걸 사장, 상품담당 서보신 사장, 현대모비스 박정국 사장 등이, LG그룹에서는 LG 구광모 대표와 권영수 부회장, LG화학 신학철 부회장, 전지사업본부장 김종현 사장, 배터리연구소장 김명환 사장 등 경영진이 총출동했다.
현대차그룹 경영진은 LG화학이 개발 중인 현재 배터리보다 5배 이상 오래 사용할수 있는 장수명(Long-Life) 배터리와 리튬-황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미래 배터리의 기술과 개발 방향성을 듣고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자동차 정의선 부회장이 지난달 삼성 이재용 부회장에 이어 한 달 새 LG그룹 구광모 회장과 만난 것은 현대차의 전기차 공급 확대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의 안정적인 수급이야말로 전기차 시장에서 승기를 잡을 수 있는 필수 요소이기 때문이다.
현대차와 LG화학은 전기차 사업에서 협력관계에 있다. LG화학은 현대차 코나와 아이오닉 전기차, 현대·기아차 하이브리드카에 배터리를 공급중에 있다.
LG화학은 또 내년 양산 예정인 전기차 전용 플랫폼 기반 전기차의 2차 배터리 공급사로도 선정됐다. 1차 공급사는 SK이노베이션이다.
현대차와 LG간 맞남은 최근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공급 확대 정책과 맞닿아 국내 배터리 동맹 강화에 있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유럽의 강한 환경 규제와 세계 각국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으로 전기차 공급이 증가하면서 이르면 내년, 늦어도 내후년에는 배터리 물량 부족에 따른 ‘배터리 대란’이 예고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은 지난달 삼성SDI의 천안사업장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전기차 협력방안을 협의했다. 조만간 최태원 SK그룹 회장과도 회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그룹은 2025년 전기차 56만대를 판매해 수소전기차 포함 세계 3위권 업체로 올라선다는 목표를 세웠다. 기아차는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지난해 2.1%에서 2025년 6.6%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기아차는 세계 최고 성능의 전기차에 필요한 최적화된 배터리 성능 구현을 위해 연관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면서 “이번 방문은 전기차 전용 모델에 탑재될 차세대 고성능 배터리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미래 배터리 개발 방향을 공유하기 위한 차원이다”고 말했다.
LG그룹 관계자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는 LG화학은 장수명 배터리와 리튬-황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미래 배터리 분야에서도 게임 체인저가 될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양사간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