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전체 정원 늘리고
학교 발전기금 확보 차원
市에 지원금 먼저 제안해
“지역 공헌 생색만” 지적
타대학과 형평성 논란도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지역인재 전형 정원 40명을 늘리는 조건으로 울산시로부터 200억원이 넘는 거액을 챙기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UNIST가 울산시에 제안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지역인재 정원 확대라는 진정성보다는 지원금이 목적이었다는 비판이 나온다. 지역 다른 대학과의 형평성 논란과 함께 상대적 박탈감도 일으킨다. 학교 발전기금 확보 차원
市에 지원금 먼저 제안해
“지역 공헌 생색만” 지적
타대학과 형평성 논란도
UNIST와 울산시는 지난 24일 시 프레스센터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지역의 우수인재 역외 유출 최소화를 위해 UNIST 지역인재전형 정원 40명을 증원한다”고 밝혔다. UNIST의 정원이 400명으로 확대됐고, 지역사회는 지역인재전형 25명이 65명으로 늘어나면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그러나 지역인재 확대 배경에는 거액이 ‘딜’이 오갔다. 울산시는 내년부터 1년차에 6억원, 2년차 13억원, 3년차에 18억원, 4년차부터 10년차까지 매년 25억원을 UNIST에 주기로 약정했다. 10년간 총 212억원이다. 정원을 확대하려면, UNIST 이사회의 결정이 나야한다. 이사회에는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등으로 구성됐다. UNIST가 과기대에서 과학기술원으로 전환되면서 정부는 정원을 750명에서 360명으로 대폭 줄였다. 교수진과 교육시설 등이 당시 정원에 맞춰 설계돼 있다보니, 학교 재정의 경제적 효율성이 크게 떨어졌다. UNIST는 정원확대로 추진했고 이사회에 신청했다. 정원확대에 따른 예산 확보가 관건이 됐다. 이사회는 “정원확대에 수반되는 예산을 확보 방안이 있냐”고 따져물었고, UNIST는 울산시의 지원을 받아 해결하겠다고 했다.
이후 UNIST는 지역정원 확대를 카드로 울산시를 설득했고, 시는 지역 우수 인재 역외 유출을 막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 수용했다.
UNIST가 울산시 등으로 받아온 발전기금이 내년부터 끊기자, 궁여지책으로 마련한 방안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울산시는 UNIST에 15년간 매년 100억원씩 1500억원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울주군은 10년간 매년 50억원씩 5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그러나 UNIST가 과기원으로 전환된 2016년부터는 울산시는 매년 70억원으로 지원금을 줄였다. 울주군과의 약정은 지난해 끝났다. 울산시는 내년이 마지막이다. UNIST에 들어가는 지원금은 시와 군을 합쳐 1820억원이다. UNIST는 울산시의 지원금도 챙기고, 학생 정원을 늘려 대학의 경제성을 높이는 일거양득을 취했다는 평가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UNIST가 울산 인재로 뽑는 학생은 울산시 돈으로 교육시키는 것”이라며 “UNIST가 지역사회에 공헌했다는 식으로 생색을 냈지만, 바닥나는 발전기금을 다시 받아내기 위한 수단이었다”고 지적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고교 졸업생 1만1305명 중 약 65%인 7416명이 다른 지역 대학으로 진학했다”며 “지역 우수 인재 역외 유출을 줄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했다”고 밝혔다.
UNIST 관계자는 “과기원이기 때문에 1명당 교육비가 발생한다. 과기원 특성상 학생들에게 받기 어렵고, 정원을 늘리기 위해서 정부가 예산을 보전해 줘야 할 수 있는 데 정부는 부정적이었다”며 “이번에 학교를 졸업한 지역 인재들이 울산에 기여하면 투자대비 효과가 높을 수 있다”고 해명했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