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남동 120-2호 고분서
최근 6세기 초 장신구 확인
무덤주인 신발 신은 첫 사례
최근 6세기 초 장신구 확인
무덤주인 신발 신은 첫 사례

문화재청·경상북도·경주시는 신라 왕경(王京·수도)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의 하나로 추진 중인 경주 황남동 120-2호분 조사에서 지난 5월 금동신발과 금동 날개(동전 크기의 둥글납작한 금동 장신구)가 발견된 데 이어 무덤 주인이 머리부터 발치까지 장착했던 6세기 전반 제작된 장신구 일체가 최근 확인됐다고 3일 밝혔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무덤 주인은 머리 부분에 금동관을 썼고, 굵은 고리 귀걸이를 양쪽에 하고 있으며, 금동신발을 신었다.
문화재청은 “경주 지역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묘)에서 피장자가 신발을 신은 사례는 이번이 최초이며 금동관과 귀걸이, 가슴걸이, 허리띠, 팔찌, 반지, 신발 등 장신구를 모두 갖춘 형태로 출토된 것은 1973~75년 발굴 조사한 황남대총 이후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발굴된 금동관은 맨 아래에 관테(관을 쓸 수 있게 만든 띠)가 있고, 그 위에 3단의 나뭇가지 모양 세움 장식 3개와 사슴뿔 모양 세움 장식 2개를 덧붙인 형태다. 관테에는 뒤집힌 하트 모양 구멍이 가지런하게 배치돼 있으며, 나뭇가지 모양 세움 장식 끝부분에도 거꾸로 된 하트 모양 구멍이 있다.
무덤에서는 굵은 고리 귀걸이 1쌍과 남색 구슬을 4줄로 엮어 만든 가슴걸이가 확인됐다. 또 은허리띠와 4점이 한묶음인 은팔찌와 은반지가 발굴됐다. 오른팔 팔찌 표면에서는 크기 1㎜ 내외의 노란색 구슬이 500점 넘게 출토됐는데, 이 구슬로 만든 팔찌는 은팔찌와 함께 끼고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은반지는 오른손에서 5점, 왼손에서 1점이 출토됐다.
문화재청은 “왼손 부분이 완전히 노출되지 않아 추가 조사를 통해 왼손 부분에서 은반지가 더 출토될 가능성이 있으며, 천마총의 피장자처럼 손가락마다 반지를 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금동신발은 ‘ㅜ’ ‘ㅗ’ 모양의 무늬를 번갈아 뚫은 앞판과 달리 뒤판은 무늬를 새기지 않은 사각 형태였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현재까지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관과 신발은 장례를 위해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