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경주 서봉총 재발굴 성과보고서

이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일제강점기인 1926년과 1929년에 조사한 경주 서봉총을 2016~2017년 재발굴한 성과보고서를 발간하면서 최근 처음으로 알려졌다.
서봉총은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에 있는 신라 왕족의 무덤 중 하나로 서기 500년 무렵 축조됐다.
먼저 만들어진 북분에 남분이 나란히 붙어 있는 쌍분이다.
무덤 이름은 당시 스웨덴(한자로 서전·瑞典) 황태자가 조사에 참여한 것과 봉황(鳳凰) 장식 금관이 출토된 것을 고려해 서봉총(瑞鳳塚)으로 붙여졌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재발굴 작업에서 무덤 둘레돌(호석·護石) 주변에 큰 항아리를 놓고 무덤 주인에게 음식을 바친 제사 흔적이 발견됐다.
27개의 큰 항아리에서는 종(種)과 부위를 알 수 있는 동물 유체 총 7700점이 확인됐는데 조개류가 1883점, 물고기류가 5700점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특히 그중 일부에서는 바다 포유류인 돌고래, 파충류인 남생이, 성게류도 확인됐다. 신경 독을 제거하지 않으면 먹기 어려운 복어까지 발견됐다.
김대환 연구사는 “항아리 속 동물 유체는 신라 무덤 제사의 일면을 보여주지만, 당시 사람들의 식생활을 알려주기도 한다”며 “당시 신라 왕족들이 복요리, 성게, 고래고기 등을 먹으며 호화로운 식생활을 즐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홍영진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