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내 경선과정에서부터
공격·방어 효율적 대처
선거부정 감시 역할까지
지역 조직책 가담 인사들
당선 후광효과로 ‘윈-윈’
울산, 與 한발 앞선 행보
서울 여의도 정치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한국 정치에서 5년마다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는 권력의 확실한 이동과 직접 관계 있는 최대 정치이벤트”라고 규정한다. 그러면서 “대선 필승의 조건 가운데 최선도 조직력, 차선도 조직력”이라고 단언한다.
1년 앞으로 다가온 차기 대선을 준비중인 여야 대선주자들은 ‘청와대를 접수하기 위한’ 치밀한 전략에서부터 각개 약진, 사실상 비상 상황에서 조직 구성작업에 돌입했다.
◇조기 조직구축 작업 배경
여야 정치권과 유력 대선주자측에 따르면 수도권은 물론 울산을 비롯한 전국 17개 시도별 조직 선점 작업이 최우선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물밑 시동을 걸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자당 대선 주자별 자파 조직력은 앞으로 대선주자 선출과정에서 공격과 방어전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선 부정과 불법선거운동까지 감시해야 하는 막중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했다.
지난 2017년 5월 장미대선 당시 더불어민주당 내 유력 주자였던 문재인 대통령, 이재명 경기지사, 안희정 전 충남지사가 3파전을 펼친 가운데 문 대통령이 대선 후보로 막판승기를 잡은 배경 역시 상대적으로 탄탄하게 구축된 조직력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이와 관련, 여권의 한 핵심인사는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의 조직력은 다른 주자에 비해 전국적으로 촘촘하게 꾸려진게 강점이었다”며 “조직 역시 먼저 구축한 조직을 뒤따라 갈 땐 효과는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지역별 조직책에 가담하는 유력 인사의 경우 자파 주자가 대선후보로 선출되거나 나아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정치적 후광효과’가 가볍지 않다는 게 지배적 분석이다.
내년 3월9일 대선에 이어 6월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예고돼 있어 상황에 따라선 선출직 공직선거 진출이 상대적으로 용이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기 때문이다. 시쳇말로 ‘대선기여도’로, 정치권에서 가장 강력한 ‘꼬리표’라고 할 수 있다
◇울산지역 대선조직 구축 전망
울산은 이미 더불어민주당 등 범여권 유력 주자들이 조직구축에 선점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민주당 내에선 NY(이낙연 대표)계가 가장 먼저 조직가동에 착수, 심규명 남갑위원장 등이 활동 중이다. 이는 지난해 7월 당대표 선출 당시 전국조직망을 구축하면서 울산에도 심 위원장을 주축으로 본격 가동, 대선전략으로 연계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공직자 신분으로 4월 등판이 기정사실화 된 SK(정세균 총리)계측은 매우 조심스럽게 당내 40~50명 안팎의 현역의원들이 활동, 울산지역 조직책을 물색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여기엔 김미형 시의원을 비롯해 유력 원외인사도 참여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보수야권인 국민의힘 등은 아직 상대적으로 낮은 여론추이를 감안, 선뜻 조직책으로 나설 인사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4월 재보선 이후 상황 변화에 따라 유력 주자가 부상할 경우 울산 조직책 역시 가시권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대선주자 조기 조직구성 왜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