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에서도 개인형 이동장치(Personal Mobility·PM)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발전하는 신(新) 교통 체계와 늘어나는 업무·민원 등에 대비해 울산도 ‘전담 조직 구성’과 ‘민·관 협의체 운영’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8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지난 2019년 1곳의 개인형 이동장치 공유업체가 200여대로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규제완화와 공유킥보드 업체 등록 간소화로 현재 5곳의 공유업체가 1450대를 운영하고 있다.
안전사고는 2018년 7건, 2019년 9건, 지난해 5건으로 줄었지만, 이용자 급증으로 인한 주차나 무단방치, 안전사고 문제, 무면허 주행 등에 안전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오락가락 하는 규정 탓에 이용자들의 혼란도 크다.
이와 관련 울산시시민신문고위원회는 이날 정기회의를 열고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관리를 통한 안전 확보와 불편 해소를 위해 울산시에 ‘공유업체와 관련 부서·유관기관의 민·관 협의체 운영’과 ‘장기적으로 개인형 이동수단 발전에 대한 신교통 체계 대비 전담조직’을 검토하는 방안의 제도개선을 권고키로 의결했다.
위원회는 또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민·관이 힘을 합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세홍기자 aqwe0812@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