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민심·정권심판·투표율이 핵심 변수”
상태바
“부동산 민심·정권심판·투표율이 핵심 변수”
  • 김두수 기자
  • 승인 2021.03.28 2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7 울산 재보선 D-9

부동산 투기 의혹 관련

결정적 증거 등장 여부

정권 심판 vs 국정 안정

지지층 결집 승패 갈릴듯
▲ 울주군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27일 울주군 덕하시장에서 울주군의회의원보궐선거 투표참여 홍보 가두캠페인을 벌였다.
선거를 열흘 앞둔 28일 4·7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와 울산 남구청장 재선거 희비를 가를 3대 변수는 부동산 민심과 정권 심판론, 선거 당일의 투표율이다.

이날 현재 여론조사 지지율은 야권 우세로 분석된다. 하지만 이들 변수가 어떻게 작용하느냐에 따라 막판 혼전으로 흐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최대변수로 부상한 부동산 민심은 전국적인 주택 가격 급등으로 누적된 불만에다 선거를 한 달여 앞두고 터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으로 여론은 쑥대밭이 됐다. 특히 공공주도 개발사업으로 집값 안정을 노려온 정부·여당이 상대적으로 큰 타격을 입은 모양새다.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이 사의를 밝힌 가운데 민주당이 국회의원 전수조사, 특검 수사 등의 카드를 던지며 수습에 나섰으나 LH 사태의 여파는 좀처럼 가시지 않는 기류다.

국민의힘은 일부 여권 인사들의 도덕적 해이를 지적하면서 민주당 박영선 후보가 일본 도쿄에 보유했던 아파트 문제, 문재인 대통령의 사저 부지 농지 취득 의혹까지 엮어 총공세를 펴왔다.

민주당 역시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내곡동 땅 투기 의혹, 박형준 부산시장 후보의 엘시티 특혜분양 의혹을 집중 부각하는 동시에 ‘LH 사태 방지 5법’을 추진하며 반전을 시도하고 있다. 그동안 제기된 의혹을 뒷받침할 결정적인 증거의 등장 여부 등은 선거전 막판까지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정권 심판이냐, 국정 안정이냐의 여론 역시 변수다. 문재인 정부 5년차에 치러지는 이번 선거를 앞두고 여야는 일찌감치 안정론과 심판론을 꺼내들고 유권자들의 지지를 호소해 왔다. 지난해 치러진 총선까지만 해도 국민의힘이 탄핵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며 심판론에 거의 무게가 실리지 않았지만, 민주당 소속 전임 시장들의 성 비위 사건으로 치러지는 이번 재보선의 공기는 다르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특히 서울시장 후보를 두고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단일화를 비교적 무난하게 성사시킨 국민의힘이 중도 확장성을 내세워 탈환을 벼르고 있다. 차기 대선에까지 시선을 둔 국민의힘이 유권자들의 분노를 한껏 자극하는 데 주력 한다면, 민주당은 얼어붙은 민심을 추스르기 위해 읍소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

여야 지지층의 결집과 투표율 역시 막판 변수로 꼽히고 있다.

선거 당일 열성 지지자들이 투표장에 얼마나 나올지가 승패를 좌우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민주당은 30% 남짓의 낮은 투표율 탓에 ‘조직 선거’로 치러지는 재보선 특성을 염두에 두고 조직표에 내심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특히 “바닥 민심은 다르다”고 자신하는 배경엔 서울시 국회의원 49명 중 41명, 구청장 25명 중 24명, 시의원 109명 중 101명을 확보한 압도적인 조직력이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투표율이 높아질수록 유리하다는 판단이다. 투표율이 올라야 현재 우위를 달리는 여론조사 지지율과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김두수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