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1.28%-6·13선거 3.45%
정치 불신 등 낮은 투표율에다
정권 심판 분위기 등 힘입은듯

4·7 울산 남구청장 재선거에서 무효표가 급감했다. 지난해 남갑·남을 총선 당시 후보에게 제대로 기표하지 않아 발생한 무효표의 약 30% 수준이자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위성정당을 내세워 치러졌던 비례대표 선거 무효표의 약 10%에 불과했다. 지난해 총선에 비해 투표율이 떨어지긴 했지만 투표장을 찾은 유권자 대다수가 후보자(또는 정당)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갖고 투표에 임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공개한 4·7 재보궐선거 읍·면·동별 개표 결과를 보면 이번 남구청장 재선거에서 793표의 무효표가 나왔다. 투표장을 찾았지만 기표를 제대로 하지 않아 득표로 인정되지 않은 사례다. 투표자 수 대비 0.72%다.
각 동별로 보면 무거동만 유일하게 세 자릿수인 102표의 무효표가 나왔고, 나머지 13개 동에선 두 자릿수 무효표가 나왔다. 신정5동의 경우 14표에 불과했다.
이번 남구청장 재선거에서 나온 무효표는 지난해 21대 총선에서 남갑·을을 합쳐 나온 무효표(2418표)의 32.8%에 불과하다. 20대 총선 당시에도 남갑·을에선 2060표의 무효표가 나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재선거에서 무효표 비율이 확연히 줄었다.
특히 집권여당과 제1야당이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과 미래한국당을 냈던 지난해 비례대표 선거에서 남갑·을 유권자 7191명이 무효표를 냈던 것과 비교하면 거의 11.03% 수준으로 줄었다.
이번 남구청장 재선거에서 무효표가 급감한 이유는 낮은 투표율에서 찾을 수 있다. 과거 무효표를 행사했던 유권자들이 이번 재선거에선 투표 자체를 포기했을 가능성이 있다. 물론 선거 직전 LH 땅 투기 의혹을 비롯해 여권 인사들의 부동산 문제 등이 잇따라 터지면서 선거 자체가 정권심판 분위기로 흘렀던 것도 무효표를 줄인 하나의 이유로 분석된다.
앞서 지난해 총선 당시에는 집권여당과 제1야당이 내세운 위성정당으로 인해 유권자들이 혼란을 겪었고 정치적 불신감까지 안겨주며 비례대표 선거의 무효표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이번 재선거 후보자들에 대한 도덕성·청렴성 등의 문제가 부각되지 않았던 점도 무효표를 줄이는데 한 몫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8년 지방선거 당시 중·동·북·울주 기초단체장 선거에선 무효표가 1000~2000표대에 불과했지만 민주당 후보가 선거공보에 허위학력을 게재한 혐의로 울산지검에 고발됐던 남구청장 선거에선 6000표 이상의 무효표가 나온 바 있다. 당시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의 구속에 따른 보수층의 실망감도 일부 사표로 이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