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버스 부당해고 문제 등
일자리·임단협 관련 갈등 지속

울산지역 노동계가 대규모 공사현장과 대기업, 공공기관 등에서 노사갈등과 노노갈등, 노정갈등까지 빚어지며 곳곳에서 삐걱대고 있다.
6일 울산시와 지역 노동계 등에 따르면 민주노총 전국플랜트노조 울산지부는 지난달 27일부터 울산시청 앞에서 천막농성을 벌이고 있다. 플랜트노조는 ‘동북아 오일-가스허브 북항사업’ 공사현장에 울산 지역민의 고용이 배제됐다며 반발, 사용자측인 GS네오텍과의 ‘노사갈등’과 한국노총과의 ‘노노갈등’에 이어 이제는 울산시와의 ‘노정갈등’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노조는 이날도 성명을 내고 “지역 건설노동자들의 가슴을 멍들인 채 국책사업을 밀어부치는 것이 무슨 지역경제활성화와 고용창출이겠느냐”며 “울산시가 책임지고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울산시는 이에 대해 “현재 투입된 23명은 공정상 어쩔 수 없으나 향후 투입되는 인원에 대해서는 지역민이 우선적으로 고용될 수 있도록 적극 중재 및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대우버스 정상화 및 부당해고 문제도 뜨거운 감자다. 민주노총과 금속노조는 이날 문재인 대통령의 울산 방문에 맞춰 남구 옥동 테크노산단 입구에서 대우버스 정상화 촉구 집회를 가진 뒤,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실 관계자에 요구 서한을 전달했다.
이들은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역사적 상징 보호와 막대한 사회적 손실방지, 울산 지역경제와 지역 일자리 지키기 등을 위해 대우버스의 청산(폐업)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며 울산시와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을 촉구했다.
두 차례 잠정합의안 찬반투표 부결 이후 교착상태에 빠진 현대중공업 노사 임단협 교섭 문제도 현안이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이날 오후 1시부터 본사에서 전 조합원 대상 4시간 부분 파업을 실시했다. 임단협 교섭 난항을 이유로 지난달 30일 이후 매주 한 차례씩 파업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노조는 특히 부산에 소재한 현대글로벌서비스 본사와 서울 계동 한국조선해양지주 사옥 앞 등에서 그룹사의 2세 경영을 반대하는 선전전도 함께 전개하며 임단협 문제가 경영권 승계 반대 투쟁으로 비화되고 있다.
금속노조는 지난달 28일부터 근로복지공단 울산 본사 앞에서 산재처리 지연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농성투쟁도 벌이고 있다. 이들은 감사원에 공익감사 청구와 함께 강순희 이사장을 고발하며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차형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