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4년 文정부…성난 부동산 민심에 출범후 지지율 최저
상태바
집권 4년 文정부…성난 부동산 민심에 출범후 지지율 최저
  • 김두수 기자
  • 승인 2021.05.09 2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갤럽 1000명 조사 결과

文 국정 지지율 29% 기록

4년차 4분기 지지율은 38%

역대정권보단 높지만 하락세
10일 집권 5년차를 맞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 후 최저 지지율이라는 성적표를 받아들고 남은 1년 국정운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출범 초반만 해도 지지율 80%를 넘나드는 고공행진을 했다. 하지만 임기 후반기로 접어들면서 ‘콘크리트 지지율’로 여겨지던 40% 선이 깨진 데 이어 30% 선마저 위협받는 상황이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7~29일 전국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29%로 나타났다. 취임 이후 처음으로 30%를 밑돈 것이다.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달 26~30일 전국 252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문 대통령 지지율은 33.0%로, 역시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역대 정부와 비교하면 문재인 정부의 성적표가 그리 참담한 것만은 아니다.

리얼미터의 분석 결과 문 대통령의 취임 4년간 평균 국정수행 평가는 긍정 55.0%, 부정 40.1%로 분석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 임기 4년간의 49.4%, 43.1%나, 이명박 전 대통령의 36.0%, 53.2%에 비해 긍정 평가는 높고 부정 평가는 낮다.

또한 한국갤럽의 역대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 분석 결과에서도 문 대통령의 집권 4년 차 4분기(2021년 1~3월에 해당) 국정 지지율은 38%로, 1987년 대통령 직선제 이후 탄생한 대통령 중에 가장 높다.

문 대통령에 이어 이명박 전 대통령 32%, 김대중 전 대통령 31%, 김영삼 전 대통령 28%, 노태우 전 대통령 15% 순이었다.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은 나란히 12%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문 대통령은 불과 1년 전까지만 해도 60%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4월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180석 압승을 한 것은 문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에 힘입은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나 여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곧바로 하락세에 직면했다.

치솟는 집값에 성난 부동산 민심이 첫 번째 원인으로 꼽힌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문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 평가의 이유로 ‘부동산 정책’이 압도적 1위를 차지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여기에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의혹과 극단적 선택,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갈등 장기화 등에 따른 실망감과 피로감이 누적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3기 신도시 땅 투기 의혹,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임대차 3법 시행 직전 전셋값 대폭 인상 등 굵직한 사건들은 지지도 하락을 부추겼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수급·안전성 논란도 악재다. 문재인 정부의 이러한 지지율 하락은 지난 4·7 재보선 참패로 이어졌다.

일각에선 역대 정권마다 반복돼온 대통령 주변 비리, 이른바 게이트가 아직까지 없는 만큼 30% 수준의 고정 지지층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지난 4년 간 국정의 성과가 가시화하며 지지율이 오를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김두수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