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북구에 따르면 협의체는 토지조합과 진장동 등기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 평창리비에르아파트 재산권피해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 북구청 실무 담당자, 시·구의원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협의체는 매월 마지막주 이동권 북구청장이 진행을 맡아 간담회를 열 계획이다.
현재 최대 쟁점사항은 토지조합의 잔여 사업비 마련이다. 조합은 지난달 총회를 열고 체비지 등재가 안된 평창리비에르 아파트 1000여가구에 대해 한가구당 6000만원의 체비지 대금을 거둬들이기로 결정했다.
대책위는 이에 반발해 지금까지 조합이 진행한 사업비용의 확인과 체비지 매각 자료를 북구를 통해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갈등의 중심에 있는 토지조합 측은 협의체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김통국 토지조합장은 “체비지 대금은 법대로 진행할 일이지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할 사항이 아니다”며 “북구나 아파트 주민들과 협의할 것도 없고, 다만 협의를 한다면 체비지 대금을 두고 조합과 주민들간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와 관련 북구는 조만간 공문을 통해 조합측에 협의체 참여를 요청할 계획이나, 조합측이 거부하다면 강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조합원들로 구성된 추진위도 협의체 역할에 회의적인 반응이다.
현재 추진위는 파산의 책임을 물어 현 조합장을 비롯한 임원진 교체를 위해 총회를 준비하고 있다. 추진위는 총회를 열기 위해 900명 이상의 조합원들로부터 동의서를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추진위 관계자는 “북구에서 요청한다면 협의체에 참여는 하겠지만 큰 기대는 하지 않는다”며 “현 조합의 문제는 행정기관이 나선다고 해결될 사항도 아니며, 조합의 정상화를 위한 임원진 교체가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우사기자 woos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