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 전 대표와 정 전 총리, 이 경기지사 등 빅3 주자들은 울산을 비롯한 전국 17개 시도별 지지층 확대를 위한 단계적 준비작업에 착수, 지역인사들과 스킨십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향후 세대결 확대여부가 주목된다.
12일 여권과 여의도 정치권을 중심으로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울산에선 당초 이 전 대표와 정 전 총리를 지원하는 인사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엔 이 지사를 지원하는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다.
여권의 한 핵심인사는 이날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국 17개 시도별로 유력 대선주자들에 대한 지지세가 나뉘어지고 있다”면서 “영남권 가운데 전통적으로 기업과 노동계가 상존하고 있는 울산에서 비교적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대선주자들이 사실상 본격적인 레이스에 돌입한 상황이기 때문에 (대선후보 선출)시간이 가까워 질수록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전 대표를 지원하는 지역 인사로는 대표적으로 심규명 남갑지역위원장을 비롯해 황세영 전 시의장을 포함한 시·구·군 선출직 공직자들이 꼽힌다.
정 전 총리를 지원하는 지역 인사는 김미형 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을 비롯해 4~5명의 시·구의원으로 알려진 가운데 ‘정치적 무게감’이 실린 유력인사들도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지사를 지원하고 있는 인사는 관내 A·B 기초단체장을 비롯해 5~6명의 시·구·군의원을 중심으로 물밑 활동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 지사는 이날 대선 경선 연기론에 대해 “원칙대로 하면 제일 조용하고 원만하고 합당하지 않나”라고 했다.
이 지사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비주거용 부동산 공평과세 실현’ 정책 토론회, 마포구에서 열린 ‘민주평화광장’ 토론회에 참석한 뒤 경선 연기론 질문을 잇달아 받고 이같이 답했다.
대선 후보를 ‘대선 180일 전’에 선출하게 돼 있는 현행 당헌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 잡음도 없을 것이란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됐다.
당 일각에 남아 있는 반감 정서 극복에 대해서는 “결국 국민의 뜻대로 흘러갈 것”이라며 “당내 문제에는 크게 비중을 두지 않아도 될 것 같다”고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