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1분기 울산 경제동향’에 따르면 울산지역 인구유출이 6년째 지속되는 가운데 올해 1분기 사상 최고 수준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지난해 1분기 인구가 순유입됐던 북구 마저 617명의 순유출이 발생하면서 1분기에만 총 5460명이 순유출됐다. 특히 남구지역 순유출 인구는 1682명으로 전년(587명) 대비 3배 가량 늘어났다.
고용지표도 바닥으로 떨어졌다. 1분기 울산지역 취업자는 54만9000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2.8%(1만6000명) 감소, 고용률은 56.9%로 4분기 연속 하락했다. 이는 2001년 1분기(56.8%)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투자지표인 1분기 울산 건설수주액은 6340억원으로, 건축과 토목부문이 모두 줄어 전년 동기대비 63.3%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구 순유출의 흐름이 뚜렷했다. 그러나 울산의 경우 10대와 20대 인구유출 비율이 유독 높은 만큼 대책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나마 수출 등 산업경기 지표는 긍정적 시그널을 나타냈다.
울산의 올 1분기 광공업 생산은 전년 동분기 대비 4.6% 증가했다. 2019년 3분기 이후 6분기만의 증가세 전환이다. 주요 업종별로 보면 자동차(20.0%), 화학제품(2.1%)은 증가한 반면, 석유정제(-12.4%), 금속가공(-18.6%) 등은 크게 줄었다. 반면 서비스업생산은 금융·보험(10.8%), 도소매(2.8%) 등은 늘었으나, 숙박·음식점(-15.9%), 운수·창고(-3.2%) 등이 줄어 전년 동기대비 0.1% 감소했다.
대외 교역도 지난해와 비교해 소폭 회복된 모습이다. 수입액은 줄었으나, 수출액이 증가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105.41로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사상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