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는 G7 국가들 중 국부 데이터가 나오는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4개국과 한국을 대상으로 자산 상위 100대 기업의 경제력집중도를 분석한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국부는 한 국가의 모든 경제주체가 보유한 자국 내 순자산(부채 제외)을 모은 것인 반면, 기업 자산에는 부채 및 해외보유 자산이 모두 포함된다.
2019년 우리나라의 국부 대비 상위 100대 기업의 자산총액 비중은 한국이 17.7%로 비교대상 5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는 영국(44.9%)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이다.
한국은 10년 전보다 국부 대비 100대 기업의 자산 비중이 가장 큰 폭(-2.5%p)으로 하락했다. 이는 이탈리아(-1.5%p)나 프랑스(-0.3%p) 보다도 하락폭이 큰 것이다. 반대로 영국(11%p)과 독일(1.3%p)은 10년 전보다 100대 기업 자산 비중이 증가했다.
한국의 대기업 자산 비중을 장기시계열로 분석했을 때, 전체기업 자산총액에서 100대 기업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1985년 47.5%에서 2019년 31.6%로 15.9%p 하락했다. 특히 2019년의 대기업 자산 비중 31.6%는 조사대상 기간 중 최저점을 기록했던 1996년 31.4%에 근접하는 낮은 수치이다.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2019년 전체기업 수 대비 대기업 수 비중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0.08%를 기록하여 OECD 34개국 중 33위를 기록했다.
전경련은 “경제력 집중 억제를 중심으로 한 대기업 정책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창식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