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철호 울산시정부와 ‘지역국회의원협의회’(회장 김기현)가 확보해야 할 2022년도분 국비 총 3조3445억원 가운데 막바지 국회와 대정부 대처를 통해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국비는 1조4328억원으로 확인됐다. 때문에 오는 25일 서울 여의도에서 예정된 시와 지역국회의원협의회의 정책협의회에서 다각적인 대처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보가 23일 입수한 ‘시·지역국회의원협의회의 정책협의’ 관련 자료에 따르면 특히 시가 추진키로 한 신규사업1717억원 가운데 ‘반드시 확보돼야하는’ 사업은 총 693억원이다.
신규사업 가운데는 울산의료원 건립비 총 2000억원 중 25억원을 비롯해 차세대교통 GAM융합기술 개발사업 490억원 중 50억원, 탄소중립융합원 1556억원 중 85억원 등 26개 사업이 포함됐다. 또한 미래자동차 전·의장 및 전동부품 기술 전환 지원비 43억원, 탄소중립융합원 85억원, 조선해양 철의장 제조산업 디지털전환(IDX) 사업비 31억원, 저탄소·분산형 에너지확산 All-in-one 테스트베드 조성비 25억원, 송정역(가칭) 환승센터 구축 21억원도 들어있다.
이 밖에도 유전체 기반 바이오 기술지원 센터 사업비 20억원, 미포국가산단(주전~어물동) 진입도로 확장사업 8억원, 울산자유무역지역 표준공장 증설비 9억원도 포함됐다.
전년도에 이어 계속사업의 경우 막판 국회와 대정부 대처가 필요한 국비 사업은 26개로 총 1조635억원 규모다.
계속사업 중 규모가 가장 큰 함양~울산고속도로 건설 9303억원을 비롯해 울산신항 개발비 1698억원, 산재전문 공공병원 건립비 585억원 등이다.
시는 이날 지역 국회의원들과의 정책협의에 이어 정부의 돈줄을 쥐고 있는 기획재정부 심사가 본격화 되는 6~8월께 송철호 시장을 비롯한 간부공무원이 기재부 핵심간부와 릴레이 면담을 추진, 집중 공략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는 정부 예산안이 오는 9월3일께 국회 제출되는 상황을 감안해 지역의원들의 상임위별 심의가 예상되는 10월말~11월 중순까지 전방위 대처키로 했다.
시 예산 핵심 관계자는 “오는 25일 국회의원들과의 정책협의에서 시가 확보해야 할 국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 뒤 국회 예결위 심의가 예상되는 11월까지 대국회, 대정부 대처를 계속할 것”이라고 했다.
국회가 정부가 제출한 2022년도 예산안 법정 통과시점은 오는 12월3일까지다.
한편 시가 이날 정책협의회에서 건의할 지역 현안 사업으로는 도시철도(트램) 건설을 비롯해 국토부 상위계획 반영 SOC사업으로 △울산~경남(양산)~부산 광역철도 건설△국도24호선 지선(언양~범서) 건국도14호선(중구 다운동∼경주시계) 확장 △제2명촌교 등 교통혼잡도로 개선 △산업단지 대개조 사업 등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