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도 찾아준 관객 위해 다양한 레퍼토리와 강좌 마련”
상태바
“코로나에도 찾아준 관객 위해 다양한 레퍼토리와 강좌 마련”
  • 전상헌 기자
  • 승인 2021.05.31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 시대 모든 사람이 힘들지만, 특히 예술인들은 힘든 사막을 걷고 있는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그 자리에 머물지 말고 돌파구를 찾아 몸부림치고 움직여야 오아시스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울산 지역극단 무(無) 전명수 대표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힘든 시기에도 7~8건의 연극 공연을 무대에 올렸다. 코로나로 힘든 상황이었지만 현장 예술인 연극을 무대에 올리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상주단체 공연장인 꽃바위문화관 공연장의 대관 일정이 여유로워 코로나 상황이 좋지 않아 무대가 취소되더라도 여유롭게 추후 일정을 잡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관객은 예전만큼 많지 않았다.

“코로나 방역수칙에 따라 객석 거리 두기가 시행되면서 관객 수가 늘 제한됐어요. 하지만 늘 만석이었죠. 예전에는 관객 한두명을 두고 공연을 한 적도 있는데 만석 공연이니까 기분은 좋았어요.”

게다가 코로나가 가져온 또 한 가지 장점도 있었다. 1년여 넘게 이어진 코로나로 문화행사에 목마름을 느낀 시민들이 공연장을 찾기 시작한 것이다. 이 때문에 객석이 풀리자마자 티켓이 동나는 현상도 생겼다.

“방역수칙으로 좌석 수가 적지만 상주단체 공연장 주변에서만 홍보해도 조기 매진이 되죠. 티켓을 더 구할 수 없냐는 문의도 들어올 정도죠. 이제는 사전에 예약하지 않으면 공연을 볼 수 없을 정도예요.”

이에 그치지 않고 전 대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관객의 눈높이에 맞춘 다양한 공연 레퍼토리를 준비하고 있다. 여기에 시민들을 위한 연극교실 등도 운영한다.

“코로나 시대에도 잊지 않고 찾아준 시민들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또 다른 변신을 보여 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요. 배우들도 준비해야겠죠. 그 기간에는 시민들 속에서 함께 생활하며 연극을 알려야 하고요. 이렇게 노력하다 보면 좋은 날이 오지 않을까요.” 전상헌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