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시론]디지털 전환과 IT·SW분야 현장 인력양성을 위한 과제
상태바
[경상시론]디지털 전환과 IT·SW분야 현장 인력양성을 위한 과제
  • 경상일보
  • 승인 2021.06.11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윤동열 건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서울인적자원개발위원회 선임위원

정부는 최근 산업 재편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소프트웨어 인력 현장수요에 대응하고 청년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 소프트웨어 인재 8만9000명을 추가한 총 41만3000명을 2025년까지 양성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중소·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자나 웹 전문가 등 전문인력 구인난 심화에 따른 조치로 볼 수 있다. 최근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는 관련업계 구인기업과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던 구직자들에게는 다소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대책의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단기적으로 중소·벤처기업의 시급한 인력 부족에 대응해 기업 주도의 단기 훈련과정을 확대하고 재직자 훈련 지원을 강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해부터 고용노동부가 운영하고 있는 현장학습 중심의 K-디지털 트레이닝(K-Digital Training) 사업을 확대해 협회·기업·훈련기관이 공동으로 현장실습 중심의 훈련과정을 설계해 기업이 직접 선발한 청년들에게 제공하고, 훈련비와 채용 시 인건비 등 소요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 산업계, 노동계, 지자체, 고용센터, 대학 등으로 구성된 인적자원개발 거버넌스인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를 활용해 빅데이터, 게임 등 분야별 선도기업과 함께 수요 맞춤형 훈련도 제공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중기적으로 고급·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기업·대학 협력모델을 지속적으로 확산하는 한편, 학교를 통한 소프트웨어 전공자도 확대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기업이 대학 내에서 대학의 교육장과 기숙사 등을 활용해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협력 사업과 대학이 공동으로 기업의 교육과정을 활용하는 네트워크 사업도 새롭게 추진할 계획이다. 물론 소프트웨어 전공자 양성을 위해 SW중심대학을 64개로 확대하고 인턴십 등 기업과 연계한 현장실습 교육을 강화한다는 계획도 포함돼 있다.

그러나 여전히 분야별·수준별 인력양성 규모 전망이 아직 미비하고 이를 통한 단기 및 중장기 인력양성 계획도 구체적이지 않아 국가경제 생태계의 혁신성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추진계획의 보완이 필요하다. 기업 현장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한 중장기적인 계획이 현장에서 실현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개별부처, 지방자치단체 간 협업을 통한 디지털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분야별 인력수요 전망, 수준별 인재양성 모델을 발굴·확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이미 디지털 뉴딜 정책에서 고급인재 및 전문인력,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신기술 인력양성 트랙을 구축하고, 기존 산업에 대한 디지털 경제로의 이동 지원을 위한 산업별 융합 인력양성 계획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사업별 주요 인력양성 분야를 중심으로 트랙 구축이 필요하며, 다양한 분야에 필요한 디지털 기초역량 배양에 필요한 공통과정의 성격을 지니는 과정은 범용과정으로 설계해 공통모듈로 반영돼야 한다.

특히 초급이나 초·중급 과정은 특정 분야에 국한한 인력양성 사업이 아닌 디지털 신기술분야에 대한 폭넓은 수준의 훈련에 해당하는 과정들로 분야별 트랙 구축 시 범용과정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디지털 신기술분야 트랙을 중심으로 사업별 인력양성 목표를 제시하고 트랙별 초급단계부터 고급기술까지의 경력개발경로를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정부나 민간에서 제시되고 있는 트랙별 인력양성 기간도 일정하지 않다. 디지털 인력양성 트랙 구축 시 초급부터 고급까지의 훈련이수를 통해 최고 전문가까지 성장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디지털 트랙별 특성, 교육훈련 내용 및 방법 등의 차이로 인한 인력양성 기간의 편차는 어느 정도 발생할 수 있으나, 트랙 간 형평성 및 추후 자격체계와의 연동 등을 감안할 때 인력양성 기간에 대한 일정 기준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한 표준안 마련이 필요하다.

정부 디지털 전문인력 양성사업 중 상당수가 대학 혹은 대학원을 중심의 위탁과정으로 수행되고 있는데, 중급 및 고급 과정을 담당할 적합한 수행기관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며, 학위과정과의 연계 적절성과 프로그램의 효과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직업훈련기관 중심 인재양성에서 벗어나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이를 지원하는 새로운 인력양성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윤동열 건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서울인적자원개발위원회 선임위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 곳곳 버려진 차량에 예산·행정 낭비
  • 확 풀린 GB규제…울산 수혜 기대감
  • 궂은 날씨에도 울산 곳곳 꽃놀이 인파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복효근 ‘목련 후기(後記)’
  • [기고]울산의 랜드마크!
  • 이재명 대표에서 달려든 남성, 사복경찰에게 제압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