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가운데 야당인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는 정부와 여당을 겨냥,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과 정부 장·차관급 이상 고위공직자에 대한 감사원의 부동산 전수조사에 응하라고 파상공세에 나섰다.
14일 여야에 따르면 민주당 내부는 대선 정국을 앞두고 ‘내로남불’ 프레임과 부동산 정책 실패 수렁에서 탈출하겠다며 내놓은 대책들의 마무리 단계에서 당내 반발로 들끓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전현희) 전수조사 결과 불법 의혹이 제기된 12명 의원 중 일부는 여전히 당의 탈당 권고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기류가 나타나고 있다. 탈당 권고 결정을 내린 지 엿새가 흐른 14일 현재 절반인 6명의 의원만이 탈당계를 낸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도 김회재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불법 명의신탁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해명을 뒷받침하는 문자메시지를 공개하며 불복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권익위는 실수로 인한 수사 의뢰를 즉시 철회하고, 당 지도부는 탈당 권유를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 의혹이 완벽하게 해소됐다”고 거듭 주장했다.
부동산 세제 개편안에 대해서도 정책 의총을 앞두고 63명의 의원이 집단으로 반대 의견 규합에 나서는 등 사실상 실력저지에 나서면서 지도부가 준비한 ‘상위 2% 종부세 부과 안’을 관철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자칫 ‘소리만 요란했다’는 평가를 받을 경우 이준석 대표 선출로 보수 혁신과 변화의 기대치를 한껏 끌어올린 국민의힘과의 대비만 두드러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은 두 사안 모두 일단 대화와 설득을 통해 내부 반발을 잠재워보겠다는 계획이다. 당 지도부는 탈당 권유 대상자들의 주장을 계속 경청하면서도 선당후사의 자세로 탈당을 결단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국민의힘 김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에서 “부동산 투기에 대한 국민분노 해소를 위해 협조하라. 청와대와 행정부는 감사원의 직무 감찰 대상”이라며 “당연히 객관적 전수조사에 응해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이 소속 의원들의 부동산 전수조사를 감사원에 의뢰했다가 감사원이 국회의원에 대해 직무감찰 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거부, 국민권익위원회 전수조사 의뢰 쪽으로 선회한 가운데 정부여당에 대한 재역공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김 원내대표는 특히 권익위의 부동산 전수조사와 관련, 더불어민주당 출신 전현희 위원장이 직무회피를 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 데 대해 “국민의힘에 대해서는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지 않고 정치조사를 하겠다는 것인가”라고 반발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