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당은 “시민의 삶을 결정하는 지방예산은 지역의 힘 있는 유지, 특정 계급계층과 세력, 단체의 입김의 영향을 받고, 지역 관료와 토호세력을 중심으로 지역개발과 토건 중심으로 수십 년째 편성되고 있다”며 “지방분권과 자치제도가 강화되는 시대에 걸맞고, 코로나 위기 시대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과 원칙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당은 이어 “울산시 예산에는 시민 고통 최우선 해결이라는 철학이 없고, 당사자 중심이 없고, 민관협치라는 원칙이 없다”며 “자영업자의 고통을 해결하고 청년들이 울산에서 머물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예산, 노동자·여성·아동을 위한 예산이 될 수 있게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