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표는 6·11 전당대회에서 당대표로 선출된 이후 지난주 지역언론으론 처음으로 가진 본보와의 단독인터뷰에서 울산의 미래와 관련해 이렇게 대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언급은 전당대회가 진행 중이던 지난 6일 당대표 후보자격으로 울산을 찾아 UNIST(울산과학기술원) 청년창업기업대표단과 간담회를 가지는 등 울산경제에 대한 각별한 관심의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당시 그는 “울산도 전기차 시장의 확대에 따른 기존 산업의 어두운 미래를 회생시킬 수 있도록 UNIST 등과 협력해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성과를 내겠다”고 했다.
김기현 원내사령탑과 서범수 당대표 비서실장이 울산 출신인 것을 감안해 “산업의 전환을 꿈꾸는 울산을 저희 지도부가 최우선으로 챙기겠다”고 덧붙였다. 내년 3월9일 대선에 이어 6월1일 지방선거에서 울산의 거시적 발전과 관련된 실질적인 공약을 개발, 제시할 지 주목되는 대목이다.
이 대표는 당대표 후보로서 공약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공직후보자자격시험제’ 도입에 대해서는 강력한 실천의지를 재확인했다. “지방선거에는 여러 직급의 후보가 동시에 출마하다보니 선거공보나 공약 모음만으로는 유권자가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 어려우므로 정당이 후보자에 대한 검증을 강화해 국민에게 선보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그 이유를 밝혔다. 당내 일부 최고위원 등 일각의 반대 목소리에 관계없이 토론배틀 등의 경쟁방식은 예정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표는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대선과 지방선거 ‘동시 실시’에 대해선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또 개헌투표 등을 대선과 결합하자는 일각의 주장도 자칫 개별 대선후보의 개헌에 대한 입장 차이가 선거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이 대표의 대선·지방선거 동시 실시 불가방침이 확고함에 따라 여야 지도부 또는 유력 잠룡들이 대선가도에서 제기할 것으로 보이는 동시선거는 사실상 물건너 갔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