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대학교병원은 최근 혈액내과 조재철(사진) 교수팀이 만성골수성 백혈병 치료제인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를 이용, RPMI-8226, MM.1S, IM-9 등의 다양한 다발골수종 세포주들과 다발골수종 골수 세포에 대한 작용여부를 통해 세포자멸사가 유도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생의과학연구소 허숙경 박사는 세포 단계의 항암 효과를 이종 이식 동물 모델도 재현에 성공하며 다발골수종 세포의 성장을 유의하게 억제함을 보고하며 연구의 효과의 공신력을 높였다.
다발골수종은 노령사회 진입에 따라 지난 30년간 30배 가까이 발생률이 급증했다. 다발골수종은 재발이 흔하고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기 때문에 약제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전상헌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