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정 ‘법정 문화도시’가 되기 위해 울산시가 다시 고삐를 죈다. 한번 고배를 마신 뒤 와신상담 준비한 재도전이라 그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018년 시작된 ‘법정 문화도시’는 문화자산을 활용해 지역 스스로 도시의 문화 환경을 기획·실현하고, 도시브랜드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사업계획을 세워 공모에 도전하면, 이를 정부가 심의하여 타당하다고 판단되면 예비문화도시로 먼저 지정한다. 이후 최종적으로 문화도시로 선정되면 5년 간 100억~200억원 내외의 국비를 지원받아 꼭 필요한 문화사업을 펼칠 수 있게된다.
울산시는 문화도시 정부지원사업에서 1차 통과한 뒤 아쉽게도 최종 문턱을 넘지 못한 경험이 있다. 하지만 지난 연말부터 준비에 다시 들어간 뒤 최근 다시 도전장을 내밀었다. 전문가 의견과 시민들이 원하는 울산형 문화도시를 구상하고, 이를 위한 세부실행계획을 설계한 뒤 지난 17일 정부공모사업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계획서에 따르면 울산시는 반세기 산업수도로서의 정체성과 시민들의 문화향유 의지를 앞세워 울산을 ‘문화공장’으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설정했다. 시민 모두가 문화공장을 이끄는 ‘문화공장장’이 되도록 하겠다는 핵심가치도 제시했다. 주요사업들은 지역문화가치 확산을 도모하고, 문화거점 활성을 꾀하며, 시민문화네트워크 우선 구상하여, 민관이 함께하는 문화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세부안은 전문가컨설팅을 거쳐 수정보완할 예정이다.
울산시는 울산문화도시추진위원회를 구성, 이달초 제1차 위원회의도 가졌다. 사업진행 과정마다 즉각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자문을 구하기로 했다. 울주군을 비롯해 울산지역 5개 구군과도 지속협의한다. 문화도시 효과가 울산 전역 주민생활 속으로 깊숙이 파고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올해 문화도시 지정 절차는 울산시가 제출한 문화도시조성계획에 대해 정부문화도시심의위원회가 서면 및 현장검토를 거쳐 11월 말 ‘예비문화도시’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 울산이 예비문화도시로 선정되면, 2022년 11월까지 약 1년간 문화도시조성계획에 따라 관련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후 내년 연말께 울산이 최종 ‘문화도시’로 지정되면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정부예산을 지원받아 울산만의 문화도시를 구축하는 전략사업을 펼칠 수 있다.
홍영진기자 thinpizz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