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한국문화재재단에 따르면 한국문화재재단은 경남 양산시 중부동 268 일대 발굴조사를 진행해 길이 14.36m·너비 2.35~2.7m·높이 0.64m 규모의 양산읍성 기초부를 발견했다.
양산읍성은 조선 성종 23년인 1492년에 쌓았으며, 조선시대 후기까지 동·서·북문과 여러 건물이 남아 있었다. 일제가 1913년 제작한 양산 지적도에도 둘레가 약 1.5㎞인 읍성이 표시돼 있다.
하지만 대부분 허물어져 현재는 6~7곳에 흔적이 부분적으로 존재할 뿐 대부분 사라진 상태다. 이번 조사 지점에서 북동쪽으로 120여m 떨어진 중부동 181 일대에 길이 15m, 높이 2m의 성벽이 있다.
조사를 통해 확인한 성벽 기초부는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조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조사 부지의 서쪽에서는 길이 10~30㎝인 할석(割石·깬돌)을 깔아 지반을 견고하게 만들고, 그 위에 길이 50~120㎝인 커다란 돌을 두 줄로 올렸다. 또 발굴조사에서 조선시대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길이 10㎝ 내외의 기와 조각이 출토됐다.
한국문화재재단 관계자는 “양산읍성의 성벽은 일부 볼 수 있었지만, 읍성 아래 기초부 모습이 드러나기는 이번이 처음인 만큼 조사 결과가 양산읍성의 전체 위치를 찾고 역사적 사실을 고증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길 바란다”며 “부지 동쪽에서는 성벽 내벽 쪽에 채운 길이 50㎝ 정도의 할석이 2~3단 정도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이번 조사를 통해 일제강점기 지적도의 양산읍성 자리에 기초부가 남아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며 “다만 문화재청이 제공하는 문화유적분포지도와는 읍성 위치가 조금 달랐다”고 밝혔다.
김갑성기자 gskim@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