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보 12건 17점을 비롯해 수준 높은 백제 문화의 정수라고 할 만한 귀중한 문화재를 한자리에서 만나볼 드문 기회다. 무령왕릉은 무덤 주인과 조성 시기를 명확히 알 수 있는 유일한 고대 왕릉이어서 역사학과 고고학 연구의 기준점이 되는 자료다.
국립공주박물관은 무령왕릉 출토품 124건 5232점을 비롯해 자료 136건 5283점을 선보이는 특별전 ‘무령왕릉 발굴 50년, 새로운 반세기를 준비하며’를 14일 개막한다.
백제 제25대 임금인 무령왕(재위 501~523)과 왕비가 함께 묻힌 무령왕릉은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옛 송산리 고분군)에서 1971년 7월 우연히 발견됐고, 백제와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도움이 될 만한 획기적 유물이 대거 쏟아져 나왔다. 당시 출토품은 4600여 점으로 집계됐으나, 재조사 과정에서 약 600점 많은 5232점으로 확인됐다.
한수 국립공주박물관장은 “지금까지의 무령왕릉 전시가 독주회나 협주곡이었다면 이번 전시는 교향곡”이라며 “무령왕릉의 모든 유물이 나오는 날이 최소 한 세대 내에는 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상설전시장인 웅진백제실은 무령왕과 왕비가 착용한 유물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했다. 전시장 곳곳에는 나태주 시인이 무령왕릉을 주제로 쓴 시가 붙었다.
전시는 내년 3월6일까지. 국립박물관 특별전으로서는 이례적으로 기간이 길다. 홍영진기자 thinpizz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