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른바 ‘대장동 쓰나미’가 5개월 앞으로 다가온 대선정국의 이슈를 빨아들이는 블랙홀로 부상했다. 경기 성남시장으로서 개발 인허가권자였던 이재명 경기지사뿐 아니라 국민의힘을 탈당한 곽상도 의원과 야권 경선주자 한명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실명까지 거론되면서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사정기관의 진상 규명의 향방에 따라 어느 한쪽이 치명타를 입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여야는 각각 ‘국민의힘 게이트’ ‘이재명 게이트’ 프레임을 내세워 물러설 수 없는 대결을 시작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장동 개발 의혹이 ‘국민의힘 게이트’라며 이 지사를 향한 공세에 차단막을 치면서 야권을 집중 겨냥했다.
국민의힘을 탈당한 곽상도 의원 아들의 퇴직금 50억원, 원유철 전 의원의 고문료에 이어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가족까지 야권 인사들이 연루된 정황이 속속 드러나는 점을 부각하며 역공에 나섰다.
국토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30일 윤 전 총장의 부친이 화천대유 최대주주 김만배씨의 누나에게 매각한 서울 연희동 집을 찾아가 현장 조사에 나섰다.
윤호중 원내대표는 “머지않아 퍼즐 조각이 모여 전체 그림이 완성될 것”이라며 “국민의힘 게이트가 윤석열 후보의 진실을 그대로 보여줄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또 국민의힘의 특검 요구에 대해서도 거듭 선을 긋고 있다. 검찰의 수사가 속도를 내는 상황에서 특검 수사 요구는 정치공세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번 사안을 ‘이재명 게이트’로 규정, 대여공세를 한층 강화하고 나섰다.
핵심은 대장동 사업이 특정 민간인에게 막대한 수익을 몰아주도록 설계됐다는 것이고 이 사업의 설계자는 바로 이 지사라는 것이다.
민간인이 참여한 화천대유와 그 자회사 격인 천화동인이 대장동 개발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인 성남의뜰에 3억5000만원을 투자, 고작 7%의 지분으로 3년간 4040억원 규모의 배당금을 챙긴 것이 본질이라고 보고 있다. 여기에 5400억원 규모로 기대되는 분양 이익까지 더하면 최대 1조원에 이르는 ‘천문학적 돈벼락’이 소수의 특정인에게 돌아갔다는 비판을 제기한다. 국민의힘은 이 지사가 결과적으로 성남시에 손해를 입혔다며 배임 혐의로 고발한데 이어 특검을 관철하겠다며 여론전에 나섰다. 친정부 인사가 장악한 검찰·경찰 수사로는 진상을 규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준석 대표는 이날 간담회에서 이 지사를 겨냥, “의혹이 사실이라면 애초에 대선 후보가 될 자격이 없다. 특검을 거부하는 사람이 범인”이라고 했다.
하지만 곽 의원이 탈당했어도 상식적이지 않은 퇴직금으로 ‘내로남불’ 역풍이 이어지는 데다, 윤 전 총장 부친의 집 매각도 ‘우연치고는 석연치 않다’는 의혹의 시선도 있다. 국민의힘은 ‘50억 클럽’ 등 화천대유의 여권 인사 로비 의혹을 새롭게 제기하며 국면 전환을 시도하는 동시에 특검으로 규명하자며 특검 도입의 논리로 역이용하고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