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법무부와 경찰청,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 대장동 개발 의혹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정부 부처들의 국감이 동시다발적으로 열리면서 여야가 곳곳에서 충돌했다. 법제사법위의 법무부 국감에서는 대장동 의혹 수사의 방향을 두고 여야가 정면으로 충돌했다.
이 지사 캠프 대변인이기도 한 민주당 박성준 의원은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에 대한 검찰 수사를 “큰 흐름의 꼬리”라고 규정하며 “김만배씨의 법조인맥 동원 의혹, 남욱 변호사의 정치권 동원 의혹, 정영학 회계사의 수익배분 구조 설계 의혹 등 세 가지에 대한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은 “제대로 수사를 한다고 하면 경기도청과 비서실, 성남시청, 권순일·박영수·김만배와 이재명 캠프 정진상 부실장 자택 등을 대대적으로 압수 수색을 해서 증거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대장동 의혹으로 인해 윤 전 총장의 고발 사주 의혹이 묻혔다면서 적극적인 진상 규명을 촉구하기도 했다.
국토교통위의 국토교통부 국정감사에서 야당은 성남시장 때 대장동 개발을 추진한 이재명 경기지사의 책임론을 부각했다. 반면 여당은 보수정권의 규제 완화가 대장동 의혹의 배경이 됐다면서 역공했다.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은 “이 지사의 성남시장 시절 시작된 대장동 도시개발사업은 처음부터 공익이 아닌 화천대유를 위한 맞춤형 사업으로 진행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민주당 진성준 의원은 “박근혜 정권이 화천대유의 꽃길을 깔아준 셈”이라며 “특혜 설계자들이 석고대죄는 커녕 개발이익 환수에 최선을 다한 이에게 누명을 씌우려 한다”고 맞받았다.
기획재정위의 기재부 국감에서도 국민의힘은 대장동 이슈를 이 지사 책임론으로 결부시키며 총공세를 퍼부었다. 서병수 의원은 “이재명 성남시장의 대장동 개발에 참여한 화천대유가 5000만원 투자해 벌어들인 수천억원의 이익은 불로소득 아닌가”라며 “부동산 시장을 교란한 굉장히 악질적 설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이 지사 캠프 상황실장이기도 한 김영진 의원은 “거의 비슷한 시기 비슷한 사업규모의 도시개발사업을 비교하면, 성남시는 대장동에서 5508억원의 사전 이익을 확정했지만, 의왕시는 백운밸리에서 140억원 손실을 사업자와 5대5로 나누는 문제가 생겼다”고 지적했다.
문화재청 감사가 열린 문체위에선 곽상도 의원의 아들 병채씨가 화천대유에서 퇴직금 50억원을 받은 경위와 관련해 여당이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한편, 대장동 개발 의혹 공방에 국민의힘 대권주자들도 가세했다.
윤석열 후보 캠프 이상일 공보실장은 논평에서 “문 대통령의 침묵은 진상규명과 단죄를 원하는 국민에 대한 배신이고 책임 방기”라고 비판했다.
홍준표 의원은 SNS에서 “대장동 비리의 주역인 유동규가 비리로 구속됐다면 대장동 비리 설계자인 이재명 전 성남시장은 공범으로 책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얼굴은 두껍고 마음은 검다는 ‘면후심흑’을 이 후보가 실천 중”이라고 말했다.
원희룡 전 제주지사는 이날 서울중앙지검을 방문, 대장동 개발 의혹 전담 수사팀에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국민의힘 지도부와 대권주자들은 6일 특검 촉구 공동 기자회견을 연 뒤 도보 투쟁을 시작한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