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은 지난 10일 서울 올림픽공원 SK핸드볼경기장에서 열린 서울지역 순회경선에서 전체 누적 득표율이 과반을 넘긴 이 지사를 대선후보로 선출했다.
이재명 후보는 지난달 4일부터 이날까지 진행된 지역별 순회 경선과 1~3차 선거인단 투표에서 누적 득표율 50.29%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이낙연 전 대표,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박용진 의원 등을 제치고 결선 투표 없이 본선 직행을 확정지었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지역 경선에서는 51.45%를 득표, 2위인 이낙연 전 대표(36.5%)를 큰 표차로 이기면서 대세론을 이어갔다. 그러나 24만8000여명이 참여한 3차 선거인단 투표에서 이 전 대표가 62.37%를 차지, 이 후보(28.3%)를 압도했다.
이 결과 이 후보는 예상과 달리 간신히 과반인 50.29%(71만9905표)을 넘겼다. 이 전 대표는 39.14%(56만392표)였다.
이 경기지사는 후보직 수락연설에서 ‘이재명 정부’를 천명했다.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 40% 안팎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민주당 정부’가 아닌 ‘이재명 정부’를 부각한 것으로, 일각에서는 본선 무대에서 문 대통령과의 차별화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당내 대선 경선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후보로 선출된 것과 관련, “민주당 당원으로서 이 지사의 후보 지명을 축하한다”고 밝혔다.
한편, 당 대선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턱걸이 과반으로 후보로 선출되면서 제기된 이른바 무효표 처리 문제로 내분이 확산하고 있다.
이낙연 전 대표 측이 표 계산 방식에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 결선 투표를 정식으로 요구하자 이 후보측은 사실상의 경선 불복이라며 이를 일축했다. 양측간에 위험수위를 넘나드는 공방도 계속됐다. 이런 가운데 송영길 대표가 이 후보 선출을 재확인하면서 경선 국면 내내 사그라지지 않던 ‘이심송심’ 논란도 재연될 조짐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