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김병욱 의원은 “지난해부터 해당 장애인시설에 대한 울산교육청의 예산 지원이 크게 늘었다”며 “수사과정에서 돌아가신 분(장애인교육시설 교장)이 노 교육감 선거 당시 선거대책본부장을 한 것으로 안다. 노 교육감의 관계로 인해 지원이 늘었다는 합리적 의심이 들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 “사립여고의 관선 이사장도 수행한 것으로 아는데 이 또한 노 교육감과의 관계로 인해 교육청에서 추천한게 아니었느냐”고 따졌다.
노옥희 교육감은 이에 대해 “선거대책본부장이 여러 분 계셨는데 그 중의 한 분이며, 저와의 관계 때문에 지원이 늘어난 것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같은 당 정경희 의원도 장애인시설 학교장 성폭력 사건과 관련 “울산교육청의 조사 자료에 피해자는 ‘지적장애3급에 40대 여’라고 사실상 신원을 알 수 있도록 노출한 반면, 학교장은 교장이 아닌 ‘시설 설치자’라는 모호한 단어로 표현했다”며 “이는 피해자를 보호하는게 아니라 오히려 가해자를 보호하고 은폐하려는 게 아니냐”고 추궁했다.
울산시교육청이 올해부터 전국에서 처음으로 실시하고 있는 포괄적 성교육에 대해서는 호평과 비판이 엇갈렸다.
더불어민주당 권인숙 의원은 “울산의 성교육 강화 정책에 시민 82.3%가 잘하는 정책으로 평가했고, 여러 정책 사업 가운데 성교육에 대한 긍정 여론이 가장 높았다”라며 “이러한 성교육 강화 정책이 전국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의지를 갖고 계속 추진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반면 국민의힘 김병욱 의원은 “포괄적 성교육을 위한 강의 영상에서 군대문제와 휴전, 종전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며 “참으로 어처구니 없으며, 이것이 포괄적 성교육과 무슨 연관이 있느냐”고 비판했다.
이외에도 민주당 강득구 의원은 “울산과 전북지역에 최근 몇 년 새 다문화학생 수가 크게 증가했다”면서 “하지만 두 교육청의 한국어학급수는 오히려 줄어들었다”며 중도 입국 및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한국의 언어와 문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형석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