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철호 시장은 14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년주택 공급과 주거비 지원 확대 등을 포함한 주거 분야 인구 활력 증진 계획을 발표했다.
울산 인구는 지난 2015년 정점을 기록한 뒤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15~34세인 청년세대의 탈울산이 심화돼 노동인구 감소는 물론 혼인·출생률 저하 등으로 이어지며 사회적 부작용이 우려된다.
이에 시는 청년세대의 가장 큰 고민인 주거 부담을 덜어줘 울산 정착을 유도, 지역의 인구 활력을 증진시켜 나가기로 했다.
우선 시는 청년세대의 주거비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청년가구 주거비 무상 지원’ 제도를 신설한다. 임차보증금 1억원 이하 및 월세 50만원 이하 주택에 거주하는 만 19~39세 무주택 미혼 청년가구주가 대상이다.
내년부터 매년 1500가구를 선발해 2030년까지 총 4만5000가구에 매월 임대료 10만원과 임차보증금 이자 5만원을 최장 4년간 현금으로 지급한다. 소요 예산은 총 900억원이다. 청년가구 주거비를 지원받는 미혼 청년이 결혼하면 신혼부부 주거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사업을 연계한다.
시는 또 전국 최대 규모인 ‘신혼부부 주거 지원 사업’의 범위를 확대한다. 시는 지난 4월부터 만 39세 이하 신혼부부 가구에 월 최대 25만원의 임대료와 10만원의 관리비를 지원하는 신혼부부 주거 지원 사업을 진행 중이다.
시는 최근 만혼이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해 내년부터 사업 범위를 확대한다. 만 39세 이하인 지원 연령은 만 45세 이하로 확대하고, 지원 범위도 임대료와 관리비 외에 월 5만원의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을 추가해 가구당 최대 40만원까지 지원한다.
시는 2030년까지 2만6554가구에 총 813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시는 청년과 신혼부부 주거 제공을 위해 공공주택도 공급한다.
교통과 생활이 편리한 주거 선호지 중 시유지에 320억원을 투입해 2025년까지 청년층 셰어하우스형 공공주택 200호를 공급한다.
중구 혁신도시 일원인 교동 139 공공청사 부지 일부를 활용해 472가구 규모의 청년·신혼부부 공공주택을 조성한다. 청년형 26㎡ 200가구와 신혼부부형 59㎡ 272가구로 구성한다. 공공주택에는 종합보육시설을 설치하고 신혼부부의 선호도를 고려해 내부 마감재를 고급화한다. 사업비는 960억원이다.
시는 2030년까지 공공주택 비율을 현재 4%에서 10%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신혼가구의 차량 이용 증가를 감안해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도 시행한다. 결혼 5년 이내인 신혼부부가 시 공영주차장을 이용할 경우 요금 50%를 감면한다. 이를 위해 ‘울산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를 개정하고, 내년 7월부터 혜택을 제공한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청년·신혼부부 주거 지원 종합 대책은 시민 누구에게나 안정적이고 쾌적한 주거 여건을 제공하겠다는 울산시의 확고한 의지이자 약속”이라며 “주거 부담 완화로 울산에 정착하는 청년들이 늘고, 울산이 다시 활력 있는 도시로 거듭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