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내달부터 선출직 공직자 평가에 착수한다. 기간은 한달여 정도다. 광역단체장은 중앙당에서 평가하고, 나머지 기초단체장과 광역 및 기초의원에 대한 평가는 각 시도당 평가위원회에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울산시당은 자체적으로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놓은 상태다.
이번 평가는 선출직 공직자로서의 전반적인 업무 처리, 행정 및 의정활동이 당의 정체성과 얼마나 맞는지, 또 시민들의 이해와 요구를 반영한 활동 등에 포커스가 맞춰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무엇보다 이번 평가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진행되는 관계로, 평가 자체가 지방선거 과정에서 어느정도로 작용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지방의원들은 의정활동 전반에 걸쳐 자료를 정리하는 등 준비작업에 열을 쏟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한 지방의원은 “향후 공천과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 있는 반면 어느정도는 평가가 반영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어 이래저래 신경이 쓰인다”고 귀띔했다. 또 다른 의원은 “앞으로 행정사무감사, 내년도 예산안 심사가 있는 만큼 미리 평가에 대비하고 있다”고도 했다.
야권인 국민의힘 측은 ‘공직후보 역량강화 방안’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준석 당 대표는 이날 공직후보자 역량 강화 방안과 관련, “대선 후보가 선출되는 11월5일 전당대회에서 당원의 추인을 받아 한 치 오차도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직후보자 역량강화 태스크포스(TF)가 2주 전 최종안을 성안하고 보고를 앞두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공직후보자 역량 강화는 지방의회에 도전하는 당원들이 의정활동을 위한 충분한 역량을 갖도록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이를 평가해 유권자 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제도”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이 저희가 얼마나 정치개혁을 격해 노력하는지 확인할 좋은 어젠다일 것”이라며 “TF 내용을 바탕으로 공직후보자 추천까지 이르는 전반적인 과정을 개선하겠다”고 했다.
공직후보자 역량 강화는 이 대표의 6·11 전당대회 당시 주요 공약이었다. 지방선거 출마자들을 상대로 일종의 자격시험을 치르겠다는 것이었다. 지난 7월 출범한 당 공직후보자 역량강화 TF는 이 대표가 당초 구상했던 합격제에서 가점제로 자격시험 방식을 바꾸는 ‘절충안’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다.
점수가 낮다고 해서 출마를 막지는 않고 대신 시험 성적 우수자에게 경선에서 일정 정도의 가산점을 주는 방안이다.
지역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지방자치 시대에 맞는 지방의회상을 큰 골자로 다양한 의정활동 등을 보다 섬세하게 파악하고 분석해 준비해 나갈 것”고 말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