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후보는 지난달 25일 경기지사에서 물러난 이후 불과 일주일 사이에 음식점 총량제, 주4일 근무제, 전국민 재난지원금 등의 정책 카드를 쏟아냈다.
직접 대장동 결합개발 현장을 찾아가는 등 여권의 아킬레스건인 부동산 이슈에도 예상보다 반걸음 앞서가며 정책 보따리를 풀었다. 이른바 대장동 방지법에서 그치지 않고 공직자 부동산 백지신탁제 및 취득심사제, 수사권을 보유한 부동산감독원 신설 등의 구상도 밝혔다.
대권가도의 최대 위험 요인으로 꼽히는 대장동 의혹을 오히려 자신의 실행력을 부각하기 위해 정책 논쟁의 링으로 끌어올리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음식점 총량제와 주4일제 언급 역시 ‘반헌법적’ ‘전체주의적 발상’이라는 야권의 맹비난에 직면했지만 일부 대장동 이슈를 분산시키는 효과를 거둔 것 아니냐는 일각의 평가도 나온다.
이에 야권인 국민의힘은 물론 정의당까지 대선을 앞둔 ‘매표 정치’ 아니냐며 비판에 나섰다.
국민의힘은 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대장동 특혜 의혹·전국민 재난지원금 추진 등을 고리로 맹공을 퍼부었다. 김기현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후보가 지난달 29일 뻔뻔하게 대장동을 방문해 대규모 공익 환수라는 가짜 주장을 되풀이했다. 아무리 간교한 세 치 혀를 앞세워 진실을 은폐해도 국민은 이 후보를 몸통으로 인식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민주당 선대위가 13명의 공동선대위원장 체제로 출범한다.
경선후보 캠프 소속 여부와 상관 없이 민주당 소속 169명 의원 모두가 참여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매머드급이다. 선대위원장은 윤호중 원내대표와 경선 후보였던 김두관, 박용진, 이광재 의원, 각 경선 캠프의 선대위원장이었던 우원식 변재일(이재명), 설훈 홍영표(이낙연), 김영주(정세균) 의원, 김상희 국회부의장과 김진표 이상민 의원 등 총 12인이 공동으로 맡기로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