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귀국예정인 문 대통령의 유럽순방 평가는 교황의 방북 의지를 재확인한 동시에 한반도 평화의 불씨를 살린 것과 함께 문 대통령의 또 다른 유럽 순방 성과는 글로벌 이슈에서 선진국 입지를 다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서는 과감한 목표로 다른 국가의 동참을 장려했고,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서는 K방역의 성과를 바탕으로 발언권이 커졌다는 게 주된 평가다.
이번 순방을 앞둔 문 대통령의 목표 중 하나는 한국의 탄소중립 의지를 공식 천명하고, 이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기후변화 대응 선도국 지위를 확고히 하는 것이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정상회의 기조연설에서 “한국은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상향해 2018년 대비 40% 이상 온실가스를 감축하겠다”고 했다. 이는 문 대통령 스스로 도전적이라고 할 만큼 한국에는 쉽지 않은 과제다.
그러나 그간 기후변화 대응 이슈를 두고 한국의 태도가 소극적이었다는 비판이 있었던 만큼 이같은 목표는 다소 불가피한 면이 있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말 유엔에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기존 수치와 동일하게 제출해 국제사회 일각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제는 한국이 개발도상국이 아닌 선진국 반열에 오른 만큼 그에 걸맞은 역할을 해야 한다는 뜻이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이 같은 목표를 국제사회에 천명하는 것과 동시에 기후변화 대응에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가교 역할을 강조하는 데도 공을 들였다.
이 같은 의지는 G20 정상회의의 화두 중 하나였던 코로나19 백신 공급에서도 두드러졌다는 분석이다.
문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에서 한국이 글로벌 백신 제조 허브로 도약하도록 하겠다는 구상과 함께 백신이 부족한 국가를 직접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자국뿐만 아니라 모든 나라의 백신 접종률을 높여야 일상 회복이 가능한 상황에서 선진국 위상에 걸맞은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