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호근, 천기옥, 안수일, 윤정록, 김종섭 시의원은 “지난달 29일 국무총리가 반구대암각화를 방문해 사연댐에 폭 15m, 높이 6m의 수문 3개를 설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면서 “맑은 물 공급이 아닌 현재 가뭄 시 사용되고 있는 낙동강물을 고도정수 처리해 공급하는 방안이 제시됐는데 이는 반구대암각화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만 방점을 둔 처사이며, 울산시민의 생명수인 물 확보에 대한 대책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울산지역 맑은 물 공급에 대한 새로운 대안도 없이 수문만 덜컹 설치해 버린다면, 그 다음은 누가 책임을 진다는 것인지 참으로 우려스럽다”며 “물 문제 없이 사연댐에 수문이 설치되면 1일 4만9000t의 식수를 잃게 되는 반면, 운문댐 물은 공급받지 못한 채 갈수기에는 추가비용을 더 내고 낙동강 물을 끌어다 먹어야 하는 최악의 사태가 발생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선거철만 다가오면 총리와 장관을 불러 모아 반구대암각화를 포토존으로 전락시키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며 “2025년 9월 반구대암각화의 유네스코 최종 등재 목표 기한에 맞추려고 사연댐 수문 설치를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정부 정책에 대해 송 시장은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울산시는 “지난 6월24일 정부가 주관한 낙동강물관리위원회에서 통합 물관리 방안을 발표하고 울산, 경북 등 5개 지자체간 사연댐 수문 설치로 인해 부족한 물은 운문댐 물을 공급하기로 합의한 바 있기 때문에 정부 대책에는 전혀 변화가 없다”며 “울산시는 암각화 보존과 울산 맑은물 공급 문제를 동시에 해결한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라고 밝혔다.
또 시는 “지난 20여년간 암각화 보존과 맑은 물 공급을 두고 많은 연구와 논쟁과 때로는 갈등이 있었으나 이제 가시적 성과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며 “반구대 암각화를 정치화의 대상이 아닌 문화시민의 긍지로 보듬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이형중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