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9 장미대선과 내년 3월9일 예고된 20대 대선의 울산 정치행정계 지형은 정반대다.
특히 장미대선에서 집권에 성공한 문재인정부 1년 뒤 치러진 2018년 지방선거에서 지역행정·지방의회의 주류세력이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등 보수진영에서 진보진영인 더불어민주당으로 확 뒤바뀐 것이다.
공무원의 경우 대선가도에서 엄정중립을 취해야 하는 공직선거법이 있지만, 선출직인 단체장과 지방의원은 정당소속인 현실에서 정서적 측면에서도 유권자들에게 자연스레 어필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20대 대선을 앞둔 현재 지역 여야정치 행정계에선 2018년 지방선거에서 압승한 민주당이 이재명 후보에 대한 지지와 연동되면서 ‘유리하다’는 분석이 있다. 반면, 지난 3년여 행정평가와 관련해 기대에 못미친 현실에서 ‘대선·지방행정 동시평가’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유리할 것이라는 상반된 분석이 나오고 있다.4개월 앞으로 바짝 다가온 차기 대선가도에서 정치행정 지형이 주목되는 이유다.
◇2017년 장미대선 상황
더불어민주당 문재인·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홍준표 후보가 맞붙어 문 후보가 압승한 19대 대선 당시 울산지역 정치행정계 지형은 김기현 시장을 필두로 중·남·동·북구와 울주군 등 5개 기초단체장 모두 자유한국당 소속이었다.
당시 6대 시의원도 제적 22명 의원 가운데 민주당 1명을 제외하곤 한국당 소속이 21명으로 압도적이었다. 또 현역 국회의원 역시 민주당 이상헌(북구) 의원과 민중당 김종훈 (동구) 의원을 제외하곤 4명이 한국당 소속이었다. 하지만, 한국당은 울산지역 대선 표심엔 아무런 영향을 발휘하지 못한 채 완전 무력화됐다.
한국당이 압도적으로 유리한 정치·행정지형에서도 울산지역 대선에서 패배한 것은 지역 정치행정계의 ‘역할 부재’라고 평가할 순 없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정국의 연장선에서 치러진 대선에서 한국당에 대한 민심은 완전 풍비박산이 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불어닥친 ‘반 박근혜’ 후폭풍은 결국 ‘친 문재인’ 돌풍으로 연계되면서 울산 등 전국으로 확산되었기 때문이라는 게 정치권의 공통된 평가다.
◇내년 정치행정지형과 미세변수
차기 대선가도에서 울산의 정치 행정지형을 놓고 볼 때 상대적으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측에 유리한 상황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당 소속 송철호 시장을 필두로 서동욱 남구청장(국민의힘)을 제외한 중·동·북구와 울주군 등 4개 구·군 단체장은 물론 다수 지방의원이 포진되어 대시민 밀착 여론몰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지난 3년여동안 시정부와 기초단체를 운영해온 여권측이 기대에 못미치고 있다는 시민여론 또한 가볍지 않은 현실에서 대선 민심과 연동될 수도 있다는 관측도 있다. 연장선에서 문재인 정부에 대한 평가인 정권교체와 맞물려 ‘지방정부 교체론’에 대한 민심 또한 변수가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런 상황에서 내년 대선은 지난 2017년 ‘기울어진 운동장’상황과는 판이하게 다른 빅매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전국 단위 50만~100만표의 박빙으로 승패가 갈릴 수도 있다. 때문에 향후 가파른 대선지형에서 울산의 정치 행정지형이 어떤 형태로 작동하느냐에 따라 대선표심에도 ‘미세한 변수’ 역시 없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