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원톱’으로 내세우는 방식의 ‘윤석열 선대위’ 구상이 좌초하는 흐름이다.
윤석열 대선 후보와 김 전 위원장의 사뭇 다른 간극은 좀처럼 좁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두 사람이 강대강 충돌 양상을 보이는 만큼 조기봉합은 물론이거니와 수습도 쉽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윤 후보는 굽히지 않는 분위기다. 윤 후보 측 관계자는 23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후보가 김 전 위원장의 합류를 설득하기 위해 새 선대위 인선안을 제시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김 전 위원장이 태도를 바꾸지 않는 한 출구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윤 후보 측은 김 전 위원장이 성공적인 캠페인을 통한 정권 교체보다 선대위 헤게모니 장악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의심하는 것으로 보인다.
선대위를 당 중심으로 꾸리되 그 최고 사령탑은 후보이며, 인선과 조직 운영에 대한 최종 결정권도 당연히 후보에게 속한다는 입장이다.
그런데도 대선 승리에 여러차례 기여해온 김 전 위원장의 능력과 경륜을 존중해 선대위 구성 과정에서 그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왔다는 것이다.
결정적으로, 김 전 위원장이 지난 21일 밤 김병준 상임선대위원장과 김한길 새시대준비위원장의 인선을 보류하라고 요구하고 윤 후보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서 둘의 관계도 파국으로 치달은 것으로 알려졌다.
윤 후보 측은 총괄선대위원장 자리를 채우지 않고 일단 상임선대위원장, 공동선대위원장으로 이어지는 2단계 구조로 선대위를 ‘개문발차’할 방침이다.
김 전 위원장도 강경해 보인다.
그는 이날 오전 광화문 개인 사무실 앞에서 기자들에게 “더이상 정치 문제에 관해 얘기하고 싶지 않다”며 “내 일상으로 회귀하고 있다”고 밝혔다.
선대위에 합류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김 전 위원장 주변에선 윤 후보가 후보 선출 직후에 일시적으로 나타난 컨벤션 효과에 도취해 중도 외연확장을 포기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윤 후보가 경선 캠프 시절 의지했던 서너 명의 측근에게 둘러싸여 신선한 인물을 중용하지 못하고, ‘그 나물에 그 밥’인 선대위를 꾸리려 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김병준 전 비대위원장, 김한길 전 민주당 대표와 ‘3김(金)’으로 엮인 데 대해 역정을 부리는 것이란 일부 지적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는 게 김 전 위원장 측 주장이다.
현재로선 윤 후보와 김 전 위원장의 극적인 타협이 쉽지 않아 보인다는 게 지배적인 관측이다. 윤 후보 지지율이 크게 흔들리고 당 안팎에서 선대위 쇄신 요구가 빗발치지 않는 한 그가 먼저 김 전 위원장을 다시 찾아가 도움을 요청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일부 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