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대 의회 출범과 동시에 예산결산 심의를 위해 ‘울산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이 채택된 이후, 올 11월까지 결의안 40건, 건의안 14건 등 총 54건이 채택됐다. 2018년에 8건(결의안 6, 건의안 2), 2019년 12건(결의안 10, 건의안 2), 2020년은 17건(결의안 12, 건의안 5), 2021년은 11월 말까지 17건(결의안 12, 건의안 5)이다. 지역 현안과제 해결과 울산경제 재도약을 위한 각종 대안을 제시하는데 주력했다.
광역시 출범 이후 울산시의회는 중대 사안이 불거질 때마다 시의적절하게 건의안과 결의안을 발의·의결했는데, 그동안 결의안 110건, 건의안 28건 등 총 138건을 채택했다. 초대 시의회 3건(결의 2, 건의 1), 2대 6건(결의 3, 건의 3), 3대 8건(결의 6, 건의 2), 4대 4건(결의 3, 건의 1), 5대 16건(결의 13, 건의 3), 6대 47건(결의 43, 건의 4), 7대 54건을 발의해 처리했다.
광역시 출범 이후 제6대 의회까지 주요 결의·건의 사항을 살펴보면 △울산지역 국립대학 설립 △경부고속철도 울산역 설치 △경부고속도로(언양~영천) 조기확장 △반구대암각화 보존방안 마련 △고등법원 원외재판부 및 가정법원 울산 설치 △원전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울산 설립 △산재모병원 건립 △태화강 국가정원 지정 등을 촉구했다. 7대 의회에서도 △울산경제자유구역 지정 △울산 수소도시 지정 △울산 공공의료원 설립 △공공기관 추가 이전 △울산대 의과대학의 울산 환원을 촉구하는 등 다양한 결의안과 건의안 채택을 통해 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다.
아울러 7대 의회에서는 미래 성장 동력확보 및 울산경제 재도약을 이루기 위해 청년정책특별위원회, 저출산·인구감소대책특별위원회를 비롯한 총 10개의 ‘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채택하는 등 울산의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 천연가스 발전소 건설 촉구 결의안, 울산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대한 정부의 의지 촉구 결의안, 울산 수소 시범도시 지정 요청 결의안 등을 채택해 글로벌 경제 악화로 인한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와 미래 신성장 산업 육성 등 산업경쟁력 강화에도 주력했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 됨에 따라 울산의 행정기관, 기업, 노동자 등이 함께 고통분담에 동참을 촉구하는 내용의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상생협력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고 울산기상대 기상지청 승격, 고헌 박상진 의사 서훈 등급 상향 촉구 등 지역의 현안과제 해결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7대 의회에서 채택된 결의·건의안 중 울산 공공의료원 설립, 권역별 대기환경청 건립과 같은 시민들의 염원이 담긴 5개 숙원사업은 전국 시도와 공동으로 대응해 관철하고자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안건으로 제출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미얀마 군부 쿠데타 규탄 및 민주주의 질서 회복 촉구 결의를 통해서는 인권과 민주주의 수호 의지를 표명하고, 시민안전을 위해 일본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계획 철회를 요구하는 등 국가정책에 힘을 보태기 위한 다각적이고 적극적인 의정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