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과 모리슨 총리는 이날 회담에서 양국이 1961년 외교관계 수립 이래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등 기본적 가치를 토대로 우호 협력 관계를 꾸준히 발전시켜온 것을 평가했다. 이와 함께 올해 수교 60주년을 계기로 양국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기로 했다.
양 정상은 특히 핵심 광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안정적 공급망 구축을 위한 체계적인 협력을 지속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문 대통령과 모리슨 총리는 전략적 협력을 통해 역내 안정과 평화, 번영에 기여하기로 하고 이를 위해 국방, 방산 등 안보 분야와 코로나 대응, 디지털 전환 등 다양한 분야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양 정상은 또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위한 대화와 외교가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문 대통령은 종전선언 구상 등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설명했고, 모리슨 총리는 한국 정부의 한반도 평화를 위한 노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양국은 정상회담 후 방위산업 및 방산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 등을 담은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특히 호주 육군 자주포 획득사업에 대한 한화 디펜스의 K-9 자주포 30문 및 K-10 탄운차 15대를 수출하는 계약도 이 자리에서 체결됐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내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문제와 관련, “한국 정부는 보이콧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호주 수도 캔버라에서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 뒤 진행한 공동기자회견에서 “미국을 비롯한 어느 나라로부터도 보이콧에 참가하라는 권유를 받은 바 없다”고 했다. 미국과 호주 등 오커스(AUKUS·미국·영국·호주 안보 동맹) 국가들이 잇따라 보이콧을 선언하는 상황이지만, 한중관계의 중요성을 고려하면 한국이 선제적으로 보이콧 동참을 검토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판단인 것으로 해석된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