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후보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먼저 자신의 ‘고발사주’ 의혹에 대해 “도대체 이런 일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알 도리가 없다. 제 처의 명예훼손 부분과 이것을 하나의 고발장으로 해서 고발한다는 것도 상식에 맞지 않고, 저희가 권리를 침해당해서 고발하면 직접 하면 되는 것이지 이걸 야당에 맡길 이유가 전혀 없었다”고 반박했다.
민주당이 특검을 요구하는 부산저축은행 부실수사 의혹에 대해선 “부실 운운은 어불성설이다. 어느 누구도 거액의 커미션을 수수했다는 걸 알았다면 아마 대통령이 봐달라 해도 그런 일이 절대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윤 후보는 또한 YTN의 ‘김건희씨 2007년 수원여대 초빙교수 지원서 허위경력 기재의혹’ 보도에 대해 “부분적으로는 모르겠지만 전체적으로 허위 경력은 아니다”라며 민주당이 부인 김씨 관련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 등 각종 의혹을 제기하는 데 대해 “명백한 선거 개입”이라고 비판했다.
장모 관련 요양병원 불법 개설과 요양급여 부정수급 의혹에 대해선 “검찰이 과잉 수사를 한 것으로 본다”며 “아주 이례적이다. 장모를 만날 때 ‘제발 그냥 좀 지내시고 돈을 빌려주거나 투자 좀 하지 말라’고 신신당부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개헌과 관련해 “대선을 준비하면서 논할 문제가 아니다. 국민적 합의를 지켜봐야 하는 문제다. 정치인은 내각제를 좋아하지만, 일반 국민은 대통령제를 많이 선호한다”고 했다.
윤 후보는 공동정부 의사를 묻는 질문에 “진영과 출신에 관계 없이 유능한 분들을 대거 발탁해서 함께 국정을 운영해 나가야 된다는 건 상식이다. 민주당에도 충분히 합리적으로 여야 간에 소통하고 국정을 함께 고민할 수 있는 분들이 많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집권 시 여야 관계에 대해 “무리하게 정책을 추진하지 않을 것이고, 야당과 늘 협의해가면서 초기 단계부터 정보를 공유하고 비전을 공유해가면서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저는 하는 일에 비해서는 작은 정부, 효율적 정부를 지향한다”면서 ‘추경 예산을 통한 예산 지원은 정부의 적극 개입을 지향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이밖에 최근 함익병·노재승씨의 선대위 합류 과정에서 부실 검증 논란이 불거진 데 대해 “잘못된 건 전부 제 책임”이라고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