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여야 선대위 등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는 가족관련 의혹에 연달아 고개를 숙이면서도 서로를 향한 비방전은 극에 달하고 있다. 극심한 진영 대결이 펼쳐지면서 제3지대 정치 공간과 정책 대결은 설 자리를 잃었고, 지지 후보를 못 정한 부동층은 점차 증가 추세를 보이는 등 정치 혐오증만 커지는 형국이다.
여야 대진표가 완성된 이후 한국갤럽이 2주마다 진행한 차기주자 지지도 여론조사를 보면, 11월16~18일 조사에서 이 후보 31%, 윤 후보 42%, 의견유보 14%였다. 11월30일~12월2일 조사에서는 이 후보 36%, 윤 후보 36%, 의견유보 15%였고, 윤 후보 배우자인 김건희씨 허위이력 논란이 터진 이후 실시한 12월14~16일 여론조사는 이 후보 36%, 윤 후보 35%, 의견유보 16%다.
두 주자의 엎치락뒤치락 희비와는 별개로, 의견을 유보한 부동층 비중이 1%p씩 증가한 셈이다. 여야 진영이 결집하면서 부동층이 점차 줄어드는 역대 대선의 전례에 비춰보면 이례적이다.(한국갤럽 여론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관위 여론조사 참고)
특히 이 후보 아들의 불법 도박 및 성매매 의혹, 윤 후보 부인의 허위 이력 의혹 등 자극적 이슈가 쏟아지다 보니 정책 대결은 뒷전으로 밀린 채 실종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빅2 후보가 상대 당 텃밭에서 예년보다 선전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 관심이 쏠린다.
각종 여론조사에 따르면 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험지’ 대구·경북(TK)에서 20%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하고,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도 민주당 텃밭인 호남에서 두 자릿수 지지율을 보이고 있어 ‘안방 민심’ 잡기에 총력을 펼치고 있다.
한편 빅2 후보 선대위는 각각 ‘리스크’ 대비책에 부심하고 있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 캠프는 연말까지 실질적 ‘골든크로스’를 이뤄 새해부터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에 안정적 우위를 점하려 했던 시나리오에도 적잖은 차질이 빚어진 상황이다. 특히 전국민 재난지원금과 국토보유세 등 설익은 정책을 무리하게 추진하다가 당내·당정 갈등만 불러온 끝에 결국 철회한 것이 꽤 타격을 줬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역시 부인 김건희씨의 허위 이력 의혹에 대해 전격 사과했지만, 리스크 요인을 완전히 털어내진 못한 기류다. 당내에선 김씨를 둘러싼 논란이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우려하는 분위기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