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함께 조사한 ‘2021 문학 실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민 43%가 문학 독서 경험이 있고 평균 문학 독서량은 2.3권으로 조사됐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문학책 독서 경험률이 높았다. 매체별 이용률은 종이책이 40.9%로 가장 높았으며 전자책이 10.9%, 소리책(오디오북)이 5.2%로 뒤를 이었다.
전자책의 경우 10·20대 이용률이 60대 이상보다 10배 이상 높았다.
문학책을 읽지 않는 이유로는 ‘시간 여유가 없어서(35.7%)’ ‘문학책이 흥미롭지 않아서(30.6%)’ ‘적합한 문학책을 고르기 어려워서(13.4%)’ 순으로 꼽혔다.
문학도서 구매 경험이 있는 국민은 34%로 학력이 높을수록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평균 구매량은 1.3권으로 전년 대비 문학 도서 구매량이 ‘감소했다’는 응답(29.9%)이 ‘증가했다’는 답(10.3%)보다 3배가량 많았다.
문학인들의 창작 분야는 시가 39.6%로 가장 많았으며 소설이 24.2%, 수필이 12.6%로 뒤를 이었다. 다만 40대 이하의 경우 시보다 소설 창작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학 작가 외의 직업을 보유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은 58%로, 전업 작가라고 응답한 비율(42%)보다 높았다.
전업 작가의 경우에도 29%가 창작활동 외 경제활동을 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창작활동 외 경제활동을 한 이유로는 ‘경제적 어려움’이 75.2%로 첫 손에 꼽혔다. 조사 참여 문학인의 86%는 문학 활동을 통해 100만 원 이하의 수입을 얻고 있다고 답했다.
정부의 문학진흥정책 기여도에 대한 문학인들 평가는 ‘예전에 비해 높아졌다’는 응답이 43.3%, ‘변화 없다’ 45.3%, ‘낮아졌다’가 11.4%로 나타났다.
정부 정책에 대한 중요도 평가에선 ‘창작활동 지원’(72.4%), ‘창작 안전망 구축’(15.9%), ‘권리 보호’(6.4%) 순으로 조사됐다. 홍영진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